기재부, 경제동향 12월호서 7개월째 "경기 둔화 우려"
소비자물가 5%대, 무역적자 70.1억달러, 소비지수 86.5
물가는 오르고 수출 감소와 내수 회복 부진이 이어져 우리나라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16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2월호'는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지속하는 가운데 내수 회복 속도가 점차 완만해지고 수출과 경제 심리의 부진이 이어지는 등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런 정부의 '경기 둔화 우려' 진단은 지난 6월 그린북에서 처음 언급된 이후 7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5.0% 올라 전월보다 상승 폭이 0.7%포인트(p) 줄었으나, 지난 5월(5.4%)부터 7개월째 5%대 고물가가 지속되고 있다.
10월 수출(통관 기준)은 전년 동월 대비 5.7% 줄어 2년 만에 감소로 돌아선 데 이어 11월(-14.0%)에는 감소 폭이 더 커졌다. 정부의 진단도 '수출 회복세 제약 우려'에서 '수출 회복세 약화', '수출 부진' 등으로 점차 어두워지고 있다.
11월 무역수지는 70억1000만 달러 적자로 10월(67억 달러)보다 적자 규모가 커졌다. 이에 따라 11월 경상수지가 10월보다 조금 더 나빠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10월 경상수지는 8억8000만 달러 흑자였다.
그동안 경기를 뒷받침하던 내수 회복 흐름도 주춤하는 모습이다.
지난 10월 서비스 생산은 전월 대비 0.8% 줄어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소매 판매도 0.2% 줄어 두 달째 뒷걸음질 쳤다. 11월 국내 카드 승인액은 1년 전보다 6.4% 증가해 10월(10.1%)보다 증가 폭이 줄었다. 백화점 매출액 증가율도 전월(7.0%)보다 둔화한 1.1%에 그쳤다. 이는 2021년 1월(-6.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11월 소비자심리지수(CSI)는 86.5로 전월보다 2.3포인트, 전산업의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실적치는 75로 전월보다 1포인트 각각 하락하는 등 경제 주체들의 심리도 부정적이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100보다 낮으면 장기평균(2003∼2021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BSI는 현재 경영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관련기사
- 지난달 수출입 물가 석 달 만에 동반 하락
- 올해 무역적자 역대 최대치 될듯
- 내년 고용지표 더 나빠진다
- 주요 투자은행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1% 턱걸이"
- 물가 하향 안정세라고? 근원물가는 6개월째 오름세
- 증시 거래대금 3년만에 5조원 밑으로
- 정부 내년 성장률 외환위기 후 가장 낮게 전망
- 우리 경제 한겨울 오나…소비 석 달째 감소
- 올해 소비자물가 5.1%↑ 24년 만에 최고치
- 지난해 11월 경상수지 3개월만에 적자 전환
- “경기 호전 기미가 없다”…BSI 28개월 만에 최저
- 작년 경상수지 흑자 전년의 3분의 1로 줄어
- 반도체 경기 부진에···제조업 체감경기 31개월 만에 최저
- "우리 경제 '경기둔화' 국면"…정부 2개월 연속 진단
- 정부 "경기둔화 원인은 제조업, 그 중에도 반도체"
- 정부 5달째 경기둔화 진단하면서도 "하방위험 줄어"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