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1월 업황 BSI’ 69, 2020년 9월 이후 가장 낮아

전망 BSI도 2p↓…제조업·비제조업 BSI 모두 5p 내려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5개월 연속 하락해, 2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경기 부진으로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모든 산업의 업황 BSI는 지난해 12월(74)보다 5포인트(p) 떨어진 69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20년 9월(64) 이후 2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며, 지난 2020년 3월(-11포인트) 이후 월간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업황 BSI는 지난해 8월 81을 기록한 이후 9월(78), 10월(76), 11월(75), 12월(74), 1월(69)까지 5개월째 하락했다.

BSI는 현재 경영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로, 100 이상이면 긍정적 응답이, 100 이하이면 부정적 응답이 많았다는 의미다.

이달 조사는 지난 10일부터 17일까지 3255개 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고, 이 가운데 2739개 기업(제조업 1636개·비제조업 1103개)이 설문에 답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업황 BSI(66)와 비제조업 업황 BSI(71) 모두 5포인트씩 하락했다.

제조업 세부 업종 가운데 반도체 수요 감소로 인한 매출 감소 및 재고 증가 영향으로 전자·영상·통신장비(-5포인트)의 업황이 부진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 건설·자동차·선박 등 전방산업 업황 둔화로 1차 금속(-9포인트), 금속가공(-6포인트)의 하락 폭도 컸다.

제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8포인트, 1포인트 하락했고 수출기업(-8포인트)의 체감 경기가 내수기업(-3포인트)보다 더 나빠졌다.

비제조업 중에서는 연말 예산소진 효과가 사라지고 겨울철 비수기 등 계절적 요인으로 정보통신업(-14포인트)의 하락 폭이 컸다. 전문서비스 관련 수요가 줄고 월드컵 종료로 방송광고 수요가 소멸하면서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10포인트)도 부진했으며, 도소매업(-3포인트) 역시 내수 부진으로 업황 BSI가 떨어졌다.

2월 업황에 대한 전망 BSI 지수(68)도 한 달 새 2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65)에서 3포인트, 비제조업(70)에서 2포인트 낮아졌다.

김대진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물가가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글로벌 경기 둔화 압력이 높아지면서 2월 전망지수도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