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동향’ 월간 상승률 8개월째 5% 넘어
국제 원자재값이 오름세 주도…작년보다 2배 수준
올해 소비자물가가 5% 넘게 올라 외환위기 이후 2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일반 서민들에게 민감한 외식 물가는 30년만에 가장 높았다. 12월중 물가도 8개월째 5%를 넘는 고공행진을 계속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07.71(2020년=100)로 작년보다 5.1% 올랐다. 외환위기 때인 1998년(7.5%) 이후 24년 만의 최고치다.
연간 물가 상승률은 2019년 0.4%, 2020년 0.5%로 통계 작성 이후 처음 2년 연속 0%대에 머물렀으나, 지난해에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수요 회복에 10년 만에 최고치인 2.5%를 기록했다. 올해는 연간 물가 상승률이 작년의 두 배를 넘어 5%대까지 치솟았다. 석유류를 비롯한 국제 원자재 가격이 치솟으며 물가 오름세를 이끌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6.0% 올랐다. 역시 1998년(11.1%) 이후 최고치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4.1% 올라 2008년(4.3%)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 석유류 22.2%↑, 전기·가스·수도 12.6%↑, 외식 7.7%↑
올해는 연초부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이 치솟으면서 물가가 전방위적으로 크게 상승하는 모습이었다.
품목별로 보면 올해 공업제품이 6.9% 올랐다. 이 가운데 석유류가 22.2% 올랐는데, 이는 1998년(33.4%)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가공식품도 7.8% 상승했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압박에 전기·가스·수도는 12.6% 상승해 별도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농축수산물은 3.8% 오르면서 전년(8.7%)보다는 오름폭이 다소 둔화했다.
개인서비스 상승률은 5.4%로 1996년(7.6%) 이후 가장 높았다. 특히 외식 물가는 최근 오름폭이 다소 둔화되고 있지만 연간으로 7.7% 올라 1992년(10.3%)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공공서비스는 0.8% 올랐다.
◇ 12월 물가 상승률 5.0%…8개월 연속 5% 웃돌아
올해 물가 상승률은 1월 3.6%에서 시작해 5월 5.4%, 6월 6.0%, 7월 6.3%까지 가파르게 오른 뒤 점차 둔화하는 양상이다. 이달 소비자물가는 5.0% 올라 전월(5.0%)과 같았다. 지난 5월부터 8개월째 5% 이상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물가 오름세를 이끌고 있는 양상이다.
12월에는 전기·가스·수도가 23.2% 올랐다. 가공식품은 10.3% 올라 2009년 4월(11.1%) 이후 가장 크게 올랐다. 식품 원료인 국제 곡물 가격과 원유(原乳) 가격이 올라가며 출고가가 인상된 영향이다. 외식(8.2%) 물가는 여전히 8%대를 웃돌았으나 전월(8.6%)보다는 상승률이 내렸다.
품목별로는 닭고기(24.2%), 양파(30.7%), 고등어(9.1%) 등이 많이 올랐고 경유(21.9%)나 등유(43.0%)도 여전히 상승률이 높았다. 도시가스는 36.2%, 전기료는 18.6% 각각 올랐다.
한국은행은 이날 오전 '물가 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는 집세 상승세 둔화 속에 외식물가 오름폭 축소 등으로 지난해 이후 처음으로 상승률(11월 4.3%→12월 4.1%)이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내년 초에도 5% 내외의 상승률을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