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 수지 작년 266억달러→올해 60억달러 급감

한은 발표, ‘국제수지(잠정)’…7월 36억달러 흑자

수출보다 수입 감소액 많은 불황형 흑자 석 달째

"수출 4분기에는 증가세 전환…국제 유가가 변수"

경상수지가 석 달 연속 흑자를 냈지만 연간 누적 흑자 규모는 지난해의 23%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월간 경상수지 흑자도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줄어 생긴 '불황형 흑자' 양상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올해 7월 경상수지는 35억 8000만 달러(약 4조 7811억 원) 흑자를 기록했다. 4월(-7억 9000만 달러) 적자 이후 5월(+19억 3000만 달러), 6월(+58억 7000만 달러)에 이어 3개월째 흑자다.

경상수지 추이(2023년 7월)
경상수지 추이(2023년 7월)

경상수지가 석 달 연속 흑자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5∼7월 이후 1년 만이며, 올해 들어 처음으로 전년 동기(17억 달러 흑자)보다 흑자 폭이 커졌다. 하지만 이는 수입이 수출보다 더 많이 줄어서 생긴 '불황형 흑자'다. 7월 수출액은 504억 3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592억 2000만 달러)보다 14.8%(87억 9000만 달러) 감소한 데 반해, 수입액은 461억 5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597억 4000만 달러)보다 22.7%(135억 9000만 달러)나 줄어들었다.

올해 1∼7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60억 1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265억 7000만 달러)의 22.6% 수준에 불과했다. 흑자 규모가 작년에 비해 80% 가까이 급감한 셈이다.

7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42억 8000만 달러)가 4월 이후 4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은 전년 동월 기준으로 작년 9월 이후 11개월 연속 감소했다. 특히 석유제품(통관 기준 -41.8%), 반도체(-33.8%), 화학공업 제품(-16.4%), 철강 제품(-12.6%)이 부진했고 지역별로는 중국(-25.1%), 동남아(-20.9%), EU(-8.4%), 미국(-8.1%), 일본(-6.0%)으로의 수출이 위축됐다. 다만 승용차 수출액은 1년 전보다 15.7% 증가했다.

 

·수출 수입 감소 현황
·수출 수입 감소 현황

수입은 감소액이나 감소율이 모두 수출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에너지 수입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 수입이 전년 동월보다 35.7% 급감했다. 원자재 중 가스, 석탄, 원유, 석유제품 수입액 감소율은 각 51.2%, 46.3%, 45.8%, 40.9%나 됐다.

반도체(-22.6%)와 반도체 제조장비(-13.7%), 수송장비(-13.3%) 등 자본재 수입도 12.5% 줄었고, 곡물(-20.3%)과 승용차(-19.2%) 등 소비재 수입 역시 12.1% 축소됐다.

이동원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7월 수출이 주춤했는데, 8∼9월 감소세가 둔화하다가 4분기에는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설 것"이라며 "다만 유가 오름세가 계속된다면 원유 관련 수입액이 늘어 상품수지 흑자를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3년 7월 국제수지(잠정) 설명회가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이소정 한국은행 국제수지팀 과장, 이동원 금융통계부장, 문혜정 국제수지팀장, 안용비 국제수지팀 과장. 2023.9.8. 연합뉴스
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3년 7월 국제수지(잠정) 설명회가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이소정 한국은행 국제수지팀 과장, 이동원 금융통계부장, 문혜정 국제수지팀장, 안용비 국제수지팀 과장. 2023.9.8. 연합뉴스

서비스수지는 25억 3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6월(-26억 1000만 달러)보다는 적자가 소폭 줄었지만, 전년 동월(-7000만 달러)보다는 적자 규모가 36배 넘게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코로나19 방역이 완화되면서 여행수지(-14억 3000만 달러) 적자 폭이 1년 전(-8억 4000만 달러)의 거의 두 배에 이르렀고, 운송수지 흑자(9000만 달러)는 전년 동월(14억 7000만 달러)보다 13억 달러 이상 급감했다.

본원소득수지(29억 2000만 달러)는 6월(48억 5000만 달러)보다 적었지만, 전년 동월(26억 2000만 달러)보다는 많았다. 특히 배당소득 수지 흑자 규모가 한 달 사이 42억 3000만 달러에서 25억 6000만 달러로 줄었다.

7월 중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37억 2000만 달러가 늘어났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24억 2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16억 5000만 달러가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와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각 69억 달러, 26억 달러 증가했다.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 증가액(69억 달러)은 지난해 5월 이후 14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월별 경상수지(2023년 7월)
월별 경상수지(2023년 7월)
월별 금융계정 및 자본수지
월별 금융계정 및 자본수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