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중 60세 이상 비중 사상 처음 22% 넘어

1984년엔 5.4%…40년 만에 비중 4배 넘게 증가

60세 이상 창업기업 비중도 13.6%로 최고치 경신

올해 전 연령대에서 감소…60대 이상만 9% 증가

36시간 미만 취업자 늘고 평균 취업시간은 줄어

기간 연장 등 고용 품질 높일 대책 조속 마련해야

고용시장의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60세 이상의 취업자와 창업자의 비중이 모두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그러나 고령층의 취업과 창업은 단기 일자리나 생계형 창업 위주여서 고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6일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의 관련 통계를 종합하면 올해 1~7월 중 월평균 60세 이상 취업자는 역대 최대인 639만 900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2.4%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연령대별 취업자 추이
연령대별 취업자 추이

매년 1∼7월 월평균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2021년 526만 6000명에서 2022년 571만 4000명에 이어 지난해 611만 7000명으로 600만 명을 넘었고 올해 640만 명에 육박했다. 60세 이상 취업자 비중도 2021년 19.5%에서 2022년 20.4%에 이어 지난해 21.6% 등에 이어 지속 상승하고 있다. 처음으로 22%를 넘은 올해 60세 이상 취업자 비중은 40년 전인 1984년 1~7월(5.4%)에 비해 4배가 훌쩍 넘게 늘어났다.

고용시장에서 고령층 비중이 늘어나는 것은 취업자 부문 만이 아니다. 창업기업 부문에서도 60세 이상의 비중이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5월 60세 이상 창업기업(부동산업 제외)은 6만 5000개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대인 13.6%에 달했다. 연도별 1∼5월 기준으로 60세 이상 창업기업 비중은 2019년 11.0%에서 2020년 11.8% 늘었고, 2021년과 2022년에는 11.9%로 정체 상태를 보였지만 지난해 12.2%에 이어 올해는 13%를 넘어서는 급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연령대별 창업기업 추이. 자료 : 중소벤처기업부, 통계청
연령대별 창업기업 추이. 자료 : 중소벤처기업부, 통계청

특히 올해는 5월까지 전체 창업기업 수가 47만 6000개로 지난해 동기(48만 5000개) 대비 1.8% 줄었으나, 연령대 가운데 60세 이상이 유일하게 9.0% 늘었다. 30세 미만(-6.2%), 30대(-4.2%), 40대(-4.0%), 50대(-0.1%) 등 나머지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올해 1∼5월 창업기업은 8년 전인 2016년 동기보다 22.8% 증가했으나 이 기간 60세 이상 창업기업은 108.0% 급증해 격차가 컸다.

창업기업 수치에서 부동산업을 제외한 것은 2020년 소득세법 개정에 따른 연 2000만 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자의 사업자 등록 의무화로 부동산업 창업기업의 수가 일시적으로 크게 늘어난 기저효과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취업과 창업 부문의 고령자 비중이 크게 늘어나면서 고용시장의 질적 저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고용률은 63.3%로 전년 동월 대비 0.1%p 상승했다. 청년층 고용률 감소에도 불구하고 60세 이상의 취업자가 30만 명 가까이 늘면서 고용률이 0.5% 증가했기 때문이다.

 

서울의 한 구청에서 열린 '노인 일자리 박람회'가 일자리를 구하려는 노인들로 북적이고 있다. 2023.12.13. 연합뉴스
서울의 한 구청에서 열린 '노인 일자리 박람회'가 일자리를 구하려는 노인들로 북적이고 있다. 2023.12.13. 연합뉴스

하지만 임시근로자 증가의 영향으로 지난달 36시간미만 취업자는 680만 9000명으로 35만 7000명(5.5%) 늘어난 반면 36시간이상 취업자는 2158만 7000명으로 19만 4000명(-0.9%) 줄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도 38.4시간으로 전년 동월 대비 0.5시간 감소했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사회적으로 고령층의 일자리 노하우, 창업 경험 등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며 "청년층 취업 문제 등을 고려하면 정년 연장보다 고용 연장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