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경제동향과 전망' 보고서 "경기 반전 어렵다"
금융위기‧코로나19 등 경제 위기 기간 빼면 성장률 최저
민간소비 2.1%·수출 0.1% 성장, 설비·건설투자는 역성장
중국 경기 '반등 무산' 파급땐 성장률 더 낮아질 수도
올해 경기 전망에 대해 정부가 줄기차게 외치고 있는 '상저하고'를 정면으로 부인하는 민간 연구소의 보고서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1일 올해 3분기 '경제동향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연내 경기 부진 흐름을 반전시키기 힘들 것으로 분석했다.
한경연은 이와 함께 올해 경제성장률을 1.3%로 전망하면서, 금융위기(2009∼2011년)와 코로나19(2020∼2021년) 등 경제위기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실적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 내수 부문 성장률은 민간소비 2.1%, 설비투자 -2.3%, 건설투자 –0.7%로 내수 부진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경연은 임금 상승률 정체, 고물가 등으로 실질 구매력이 약화한 데 따라 내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의 성장률이 2.1%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금리 급등에 따라 가중된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 등 구조적 요인도 민간소비의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이미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해온 설비투자는 내수 침체와 글로벌 경기 위축에 따라 역성장할 것으로 예측앴다. 건설투자는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건축 부문의 공사 차질과 부동산PF 등 불안 요인이 해소되지 못해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 부문 성장률은 0.1%로 예측했다. 한경연은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미약한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미국 등 주요국 경기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한경연은 다만 대내 경기 부진에 따른 수입 감소폭이 수출 감소폭을 뛰어 넘으면서 경상수지 흑자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중국의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가 올해 안에 실현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상황"이라며 "중국의 경기 반등 무산으로 인한 영향이 미국 등 주요국으로 파급된다면 성장률이 더 낮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하반기로 갈수록 안정화될 전망이다.
한경연은 수요압력 저하 및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지난해(5.1%)보다 1.8%p 낮은 3.3%로 전망했다. 다만 폭염과 장마로 인해 농축수산물 가격이 오르고,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소비자물가 하락세가 점차 완만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경기 불황과 고금리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금융시장 리스크가 확산하지 않도록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불안감을 더해가고 있는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예기치 못한 금융시장의 충격이 경제 시스템 전체 위기로 확대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 IMF, 올 성장률 전망치 세계는 올리고 한국은 내려
- 불안해진 국외의 시선…ADB, 한국 성장률 전망 낮춰
- 성장률 전망치 1.4%로 낮추고도…정부 "추경 없다"
- 경기 동행-선행지수 격차 커져…성장률 반등 힘겹다
- 올해 성장률 1% 턱걸이 하나?…기관들 잇단 하향조정
- 해외 투자은행들 "한국 경제 내년도 1%대 저성장"
- 수출 기업 지원한다며 엉뚱한 대책 쏟아낸 정부
- 느긋한 한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 2.2%로 찔끔 낮춰
- 정부, 주술처럼 되뇌는 '상저하고'…강변 그만하라
- 실물 경제 곳곳 빨간 불…정부는 "일시적 현상" 되풀이
- 1~8월 경상수지 흑자, 작년의 절반에도 못 미쳐
- 윤 정부 경제정책 점수는? D 또는 F학점 51%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