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재정수지 52.2조 적자 전달보다 18.4조 개선

총수입 '부자 감세'로 10월까지 45.2조 줄었지만

쓸 곳 안 쓰니 총지출은 77.8조나 훨씬 크게 감소

작년 공공부문 부채 사상 처음 GDP의 70% 넘어

에너지값 상승에 한전 등 공기업 부채 역대급 증가

기획재정부가 14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2023년 12월호 표지 일부.
기획재정부가 14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2023년 12월호 표지 일부.

올해 10월 현재 실질적인 나라 살림의 상태를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 적자가 일부 개선됐다. 하지만 이는 정부의 '부자 감세'로 인해 총수입의 큰 감소에도 불구하고, 지방교부세 감소와 코로나 지원 축소 등으로 총지출이 더 큰 폭으로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한 지난해 정부와 비금융공기업 등 공공부문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전력 부채 급증의 영향으로 비금융공기업 부채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과 비율로 상승했다.

14일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12월 재정동향'에 따르면 10월말 현재 국가채무는 5조 9000억 원 증가한 1105조 5000억 원을 기록했다. 한 달 만에 다시 본예산 전망치(1101조 7000억 원)를 넘어섰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정부의 총수입은 492조 5000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5조 2000억 원 줄었다.

국세 수입이 305조 2000억원으로 50조 4000억원 감소했다. 소득세(-14조 6000억 원)와 법인세(-23조 7000억원), 부가가치세(-5조 4000억 원) 등을 중심으로 수입이 줄었다. 앞뒤 가리지 않은 '부자 감세'의 영향이다.

세외수입은 한국은행의 잉여금 감소 등에 따라 2조 7000억 원 줄어든 22조 6000억 원이었다. 기금수입은 보험료 수입 증가 등에 힘입어 8조 원 늘어난 164조 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관리재정수지 및 국세 수입 추이.
관리재정수지 및 국세 수입 추이.

10월까지 정부의 총지출은 502조 9000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77조 8000억 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총수입 감소액보다 32조 6000억 원이나 지출이 더 줄어든 셈이다. 코로나19 대응 사업의 축소, 지방교부세·교부금 감소 등으로 예산 지출이 28조 2000억 원 줄었기 때문이다.

기금은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 종료 등으로 지출이 39조 2000억 원 감소했다.

정부의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10월 말 기준 10조 4000억 원 적자였다. 정부가 버는 돈보다 쓴 돈이 더 많다는 의미다. 한 달 새 적자 규모가 20조 7000억 원 줄었다. 수입보다 지출을 더 줄인 결과다.

 

재정수지 동향 (2023년 잠정) 자료 = 기획재정부
재정수지 동향 (2023년 잠정) 자료 = 기획재정부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 수지를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52조 2000억원 적자였다. 관리재정수지의 적자 규모도 역시 한 달 전보다 18조 4000억 원 줄면서 정부가 예상한 연간 전망치(58조 2000억 원 적자)를 하회했다.

정부는 부가가치세 수입이 들어오면서 관리재정수지도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부가세 수입은 10월에 추가로 19조 3000억 원이 들어왔다. 하지만 수지 개선의 더 큰 몫은 지출의 감소였다.

정부는 향후 국고채 발행과 상환 일정 등을 고려했을 때 중앙정부 채무가 정부 전망치에 수렴할 것으로 전망했다. 1∼11월 국고채 발행량은 161조 7000억 원으로 연간 총발행 한도(167조 8000억 원)의 96.4%로 집계됐다.

이날 기재부가 발표한 '2022회계연도 일반정부 및 공공부문 부채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부문 부채는 1588조 7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161조 4000억 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공공부문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73.5%로 처음으로 70% 선을 넘었다.

 

공공부문 부채 추이 (2018~2022년)
공공부문 부채 추이 (2018~2022년)

공공부문의 GDP 대비 부채비율은 2011년 54.2%에서 2014년 61.3%까지 높아진 뒤 2018년 56.8%로 내려가는 등 등락을 거듭하다가, 2019년(58.9%)부터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부채비율은 지난해 한 해 동안 4.9%p 상승했다.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두 번째로 큰 상승 폭이다. 상승 폭이 가장 높았던 것은 2020년으로 코로나19 등으로 지출이 많아 7.2%p가 올랐다.

부문별로는 비금융공기업의 부채가 517조 4000억 원으로 작년보다 77조 7000억 원 늘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로는 21.1%에서 23.9%로 2.8%p 높아졌다. 증가액과 증가율 상승이 모두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컸다.

비금융공기업 가운데 한국전력 및 발전자회사의 부채가 연료값 상승의 영향으로 부족자금 조달을 위한 차입금 및 공사채 발행 증가 등으로 46조 2000억 원이 늘어났다.

에너지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한국가스공사의 부채도 17조 1000억 원 늘었다.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정책사업 확대 등으로 6조 5000억 원 늘었다.

일반정부 부채는 1157조 2000억 원으로 90조 9000억 원 늘었다. 국고채가 84조 3000억 원 늘어나는 등 중앙정부의 회계·기금에서 부채가 늘어난 것이 주 원인이다.

일반정부 부채비율은 GDP 대비 53.5%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비율이 2.2%p 높아졌다. 일반정부 부채비율은 2019년부터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국제통화기금(IMF)이 집계하는 비기축통화국의 부채비율 평균치(53.1%)를 지난해 처음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