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구입 수요 증가로 늘어난 주담대가 주원인
1년 10개월 만에 최대 증가…대출 잔액 1068조
주담대 증가 폭 조금 줄었지만 5개월 연속 늘어
한은 '7월 금융시장 동향'…기업대출 8.7조 증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증가가 이어지면서 가계대출 잔액이 또다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은행 주택담보대출은 수도권의 주택 구입 수요가 지속돼 5개월 연속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은행 가계대출도 4개월 연속 늘어나는 등 가계부채 문제가 다시 본격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7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7월 말 기준 1068조 1000억 원으로 전월보다 6조 원 증가했다. 잔액 기준으로 지난달에 이어 다시 사상 최대를 경신했다.
전월 대비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들어 지난 3월까지 감소세를 보이다가 4월(+2조 3000억 원) 증가세로 돌아선 뒤 5월(+4조 2000억 원)과 6월(+5조 8000억 원), 7월(+6조 원)까지 넉 달 연속 증가했다. 특히 7월의 증가 폭은 2021년 9월(+6조 4000억 원)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은행권 가계대출이 이처럼 늘어난 것은 주택담보대출 증가가 주된 원인이다.
7월 은행 주담대는 주택구입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되면서 6조 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증가 폭은 2020년 2월(+7조 8000억 원) 이후 3년 4개월 만에 최대였던 지난 6월(+6조 9000억 원)에 비해서는 줄었지만, 여전히 큰 폭 증가세를 이어갔다. 주담대는 올해 들어 2월(-3000억 원) 반짝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3월부터 5개월 연속 증가했다.
윤옥자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수도권 중심 아파트 매매거래 증가로 가계대출이 큰 폭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면서 "아파트 거래량 증가와 주담대 시행은 2∼3개월 시차가 있어 당분간 주택자금 수요는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주담대 중 전세자금대출은 지난 6월(+1000억 원) 반짝 증가했다가 7월(-2000억 원) 다시 감소세를 나타냈다. 전세자금대출은 6월을 제외할 경우 지난해 11월 이후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신용대출은 높은 대출금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에 따른 둔화 흐름이 지속되면서 7월(-100억 원)에도 줄었다. 다만 분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 효과 소멸, 주식투자 관련 일부 자금 수요 등으로 감소 폭은 6월(-1조 2000억 원) 대비 줄었다.
은행을 포함한 전 금융권 가계대출의 증가세도 지속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7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달 5조 4000억 원 증가해 4개월 연속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필요시 하반기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선제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융위는 10일 이세훈 사무처장 주재로 '가계부채 관련 관계기관 점검회의'를 개최해 최근 가계부채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7월 말 은행권 기업대출 잔액(1218조 7000억원)은 한 달 새 8조 7000억 원 늘었다. 계절 요인으로 은행 기업대출 증가 규모는 5월(+7조 8000억 원)이나 6월(+5조 5000억 원)에 비해 크게 확대됐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3조 8000억 원, 4조 9000억 원(개인사업자 1조 5000억 원 포함) 증가했다.
예금은행의 7월 말 수신(예금) 잔액은 2228조 4000억 원으로 6월 말보다 23조 1000억 원 감소했다. 부가가치세 납부 등으로 기업자금이 인출돼 수시입출금식 예금이 36조6천억 줄었다. 반면 정기예금은 가계자금을 중심으로 12조 3000억 원이 늘어 6월(+4조 4000억 원)보다 증가액이 크게 확대됐다.
6월 3조 3000억 원 증가했던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7월 18조 8000억 원으로 증가 폭이 커졌다.
전달 규제비율 관리를 위해 인출됐던 은행 자금 재예치, 국고여유자금 유입 등으로 머니마켓펀드(MMF)가 15조 1000억 원이나 늘었다. 채권형펀드와 주식형펀드에는 각각 1조 9000억 원, 1조 1000억 원이 유입됐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