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은행권 4.2조원 증가…19개월 만에 최대

2금융권은 1.4조원↓…금융권 전체 2.8조원↑

주택자금 수요 지속되고 전세자금 둔화세 약화

기업대출은 7.8조원↑…은행 금 8.2조원 빠져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 시중 은행 등 금융권 관계자들이 참석한 대출 관련 만기 연장·상환유예 연착륙 점검 회의 모습. 2023.6.8. 연합뉴스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 시중 은행 등 금융권 관계자들이 참석한 대출 관련 만기 연장·상환유예 연착륙 점검 회의 모습. 2023.6.8. 연합뉴스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늘면서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의 두 달 연속 증가하고, 규모도 상당 폭 확대됐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예금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056조 4000억 원으로 한 달 전보다 4조 2000억 원 증가했다.

올들어 은행 가계대출은 3월까지 감소하다 4월에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두 달 연속 증가했다. 지난달 증가 폭은 지난 2021년 10월(5조 2000억 원) 이후 1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이처럼 가계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은 주택구입자금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전세자금대출 둔화세가 약화됐기 때문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5월중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은 4조 4000억 원 증가했다. 주담대도 지난 2021년 10월(4조 7000억 원) 이후 가장 크게 늘었다.

은행 가계대출 증감 추이
은행 가계대출 증감 추이

전세자금대출은 7개월째 줄었지만, 감소 폭은 지난 3월(-2조 3000억 원), 4월(-1조 7000억 원)보다 5월에는 –6000억 원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그간 감소세를 이어오다가 5월 중 여행, 가정의 달 소비 등과 관련한 자금 수요가 확대되면서 보합 수준(-200억 원)을 나타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이날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지난달 2조 8000억 원 증가했다.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도 지난달 8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2개월 연속 늘었으며, 증가 폭도 4월(2000억 원)보다 확대됐다.

주택담보대출이 3조 6000억 원 늘었고,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감소 폭(-8000억 원)은 4월(-1조 7000억 원)보다 줄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이 4조 2000억원 증가했지만, 제2금융권에서는 1조 4000억 원 감소했다.

예금은행의 5월 기업대출 잔액(1204조 5000억 원)은 한 달 새 7조 8000억 원 더 늘었다. 증가 규모도 4월(7조 5000억 원)보다 많았다.

 

기업자금 조달 추이
기업자금 조달 추이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3조 4000억 원, 4조 4000억 원(개인사업자 8000만 원 포함) 증가했다. 대기업 대출은 기업 운전자금 수요·회사채 상환 목적 자금 수요 등으로 늘어났다. 중소기업 대출은 은행의 완화적 대출 태도 등에 영향을 받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예금은행의 5월 말 수신(예금) 잔액은 2213조 1000억 원으로 4월 말보다 8조 2000억 원 증가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