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취업자 4000명 증가 그쳐…5년 새 최소
전체 취업자 대기업 비중도 10.8%로 내리막
중기 취업자 증가도 두 달 연속 10만명 이하
기업들 경기 부진 장기화로 보수적 고용관리
고용률이 올랐다는 정부의 ‘자랑질’과는 달리 고용시장은 양질의 일자리 부족에 대한 우려가 높다. 자영업과 중소기업은 물론이고 대기업조차 취업자 증가가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지난달 대기업 취업자는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5년여 만에 가장 작은 증가 폭을 나타냈다. 전체 취업자에서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종사자 300인 이상 대기업 취업자는 311만 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00명 증가에 그쳤다. 지난 2019년 2월(-1만 4000명) 이후 5년 4개월 만에 가장 작은 증가 규모다.
대기업 취업자는 전체 고용시장이 얼어붙었던 코로나19 기간에도 비대면 업종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2022년 8월에는 대기업 취업자 증가 규모가 27만 1000명까지 늘어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4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후 증가 폭이 갈수록 줄어 지난해 7월(9만 5000명) 10만 명 아래로 떨어졌고 올해 3월 5만 3000명, 4월 4만 4000명, 5월 1만 6000명 등으로 줄어든 데 이어 지난달에는 거의 감소세를 면한 수준을 보였다.
전체 취업자 가운데 대기업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감소세로 전환했다. 지난달 전체 취업자 2890만 7000명 중 대기업 취업자 비중은 10.8%로 낮아졌다. 대기업 취업자 비중은 2020년 10월(10.1%) 처음으로 10%를 넘었고 지난해 12월(11.0%) 11%도 돌파했다. 그러나 이후 하향 곡선을 그려 올해 3월 11.1%, 4월 11.0%, 5월 10.9%에 이어 지난달까지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종사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는 2579만 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만 명 증가에 그쳤다. 5월 6만 4000명에 이어 증가 폭이 두 달 연속 10만명을 밑돌았다. 중소기업 취업자 증가는 올해 1월 30만 4000명에서 4월 21만 7000명으로 줄었고 5월 6만 4000명으로 대폭 축소된 데 이어 지난달에도 10만명을 넘지 못했다.
중소기업 취업자가 줄어든 데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많이 줄어든 영향이 크다. 지난달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25만 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만 5000명 줄어 2015년 10월(14만 3000명) 이후 8년 8개월 만에 가장 크게 감소했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크게 반등했던 취업자 증가가 경기 부진 장기화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가리지 않고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경기 상황을 비슷하게 느끼다 보니 고용에서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것 같다"며 "상위 대기업보다 중견기업과 중소기업 상황이 녹록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