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가처분소득 월 405만원…증가율 1.4% 그쳐
외식 3.8%·가공식품 2.2% 상승률 두세 배 높아
농축수산물은 두 자릿수 증가…과실은 폭등 시현
2분기 들어서도 외식·가공식품 가격 줄줄이 인상
올해 1분기 중 외식과 가공식품 등 먹거리 물가가 가처분소득보다 각각 2.7배와 1.6배나 더 크게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2분기 들어서도 김밥, 치킨, 피자 등 주요 외식과 가공식품의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어 소득보다 먹거리 물가의 증가율이 웃도는 양상은 2년째 계속될 전망이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월평균 404만 6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가처분소득이란 벌어들인 소득에서 이자와 세금 등을 내고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이다.
반면 외식과 가공식품 등 먹거리 물가 상승률은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1분기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2.7배이고, 가공식품은 2.2%로 1.6배다.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이 소득 증가 폭보다 큰 현상은 2022년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7개 분기째 이어졌다. 외식과 가공식품 물가의 상승률은 지난 2022년 3분기(8.7%)와 4분기(9.5%)를 정점으로 조금씩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가처분 소득의 증가률을 앞지르고 있다.
1분기 중 외식의 세부 품목 39개 중에서 37개 품목의 가격 상승률이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품목별로는 햄버거가 6.4%로 가장 높고 비빔밥(6.2%), 김밥(6.0%), 냉면(5.9%), 오리고기(외식)(5.8%), 떡볶이(5.7%), 도시락(5.7%), 치킨(5.2%) 등 순이었다.
가공식품도 세부 품목 73개 중에서는 절반이 넘는 44개 물가 상승률이 가처본소득 증가율보다 높았다. 설탕(20.1%)과 소금(20.0%)은 20%에 이르고 스프(11.7%), 초콜릿(11.7%), 아이스크림(10.9%), 당면(10.1%) 등 품목 가격 상승률도 10%를 웃돈다. 유산균(-7.9%), 김치(-5.2%), 라면(-4.3%) 등 가격은 내렸다.
1분기 분야별 물가 중에서는 농축수산물의 상승률이 10.4%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7.4배에 달했다. 특히 과실 물가 상승률은 36.4로 26배나 됐다. 과실 가운데 사과 물가의 상승률은 71.9%로 51.4배로 197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분기 기준 가장 높았다. 배도 63.1%가 올라 45.1배를 기록해 지난 1991년 3분기 이후 33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이같은 먹거리 물가의 상승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2분기 들어서도 외식과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인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밥 프랜차이즈 바르다김선생은 지난달 메뉴 가격을 100∼500원 수준 인상했고 파파이스코리아는 치킨과 샌드위치, 사이드 메뉴, 디저트, 음료 등의 가격을 평균 4% 올렸다. 또 조미김 전문업체 광천김과 성경식품, 대천김이 지난달부터 김 가격을 올렸고 CJ제일제당은 이달 초 김 가격을 11∼30% 인상했다. 동원F&B도 내달부터 김 가격을 평균 15% 인상하며 롯데웰푸드는 내달 1일부터 가나 초콜릿과 빼빼로 등 17종 제품 가격을 인상할 예정이다.
대표 외식 메뉴인 햄버거, 피자, 치킨 등 가격도 일제히 오르거나 인상될 예정이다.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가 지난달 치킨 9개 제품 가격을 1900원씩 인상한 데 이어 맥도날드는 이달 2일부터 16개 메뉴 가격을 평균 2.8% 올렸다. 피자헛도 갈릭버터쉬림프, 치즈킹 등 프리미엄 메뉴 가격을 인상했다. BBQ는 오는 31일 치킨 메뉴 23개 가격을 평균 6.3% 올린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 소비자 단체들은 식품기업들에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제품 가격을 인하해야 할 것을 주문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