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기준 출생아 수 사상 처음 2만명 미달
사망자 역대 최다…인구 52개월째 자연감소
설 연휴 혼인신고 못해서?…결혼 5% 줄어
2월 인구감소 규모 사상 처음 1만명 넘어
3월 거주지 이동 56만명…49년 만에 최저
2월 한 달간 태어난 아기가 사상 처음으로 2만 명을 밑돌았다. 반면 고령 인구가 늘어난 영향으로 사망자는 2월 기준 역대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인구 자연감소는 사상 처음 1만 명을 넘어섰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출생아 수는 1만 9362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658명(3.3%) 줄었다. 2월 기준으로 출생아 수가 2만 명 아래로 줄어든 것은 1981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2월 기준 출생아 수는 2017년 3만 499명에서 이듬해 3만 명 선이 무너졌고 작년까지 6년 연속 2만 명 대를 기록했다. 작년 2월 출생아 수는 잠정치 발표 당시 1만 9939명이었지만, 지연 신고 등이 반영되면서 최종 2만 20명으로 수정됐다.
시도별 출생아 수는 서울·인천 등 5개 시도에서는 늘어난 반면, 부산·대구 등 12개 시도는 감소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組)출생률은 4.8명으로 지난해보다 0.3명 줄었다.
2월 사망자 수는 2만 9977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19명(9.6%) 늘어, 2월 기준 역대 가장 많았다. 이처럼 사망자 수가 늘어난 것은 윤달이 끼어 올해 2월의 날 수가 하루 늘어난 영향도 있지만, 고령화로 85세 이상의 사망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이처럼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2000명(4배) 가까이 많았기 때문에 2월 인구는 1만 614명 자연감소했다. 인구감소는 2019년 11월부터 4년 4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또한 2월 인구의 자연감소가 1만 명을 넘은 것도 올해가 처음이다.
올해 2월 결혼은 1만 6949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896건(5.0%) 줄었다. 결혼 건수는 지난 1월 11.6% 증가했으나 한 달 만에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올해 들어 2월까지 누계로는 작년보다 3.3% 증가했다. 통계청은 올해 2월이 윤달로 하루가 더 있었지만 설 연휴로 혼인신고가 가능한 영업일 수가 줄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월 이혼 건수는 7354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128건(1.8%) 증가했다.
한편 고령화의 영향으로 인구의 이동은 급격히 감소했다. 통계청이 24일 내놓은 '3월 국내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거주지를 옮긴 인구는 56만 3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만 6000명(4.4%) 줄었다. 대표적인 이사철인 3월 기준으로는 지난 1975년의 55만 4000명 이후 49년 만에 가장 적은 거주지 이동이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의미하는 이동률도 지난달 13.0%로 전년 동월 대비 0.5%p 낮아졌다. 거주지 이동은 읍면동 경계를 넘어 전입신고서 제출 기준이다.
전입 인구에서 전출 인구를 뺀 순이동을 시도별로 보면 인천(3237명), 경기(3226명), 충남(2176명) 등 7개 시도는 인구가 순유입됐다. 반면 경남(-1778명), 대구(-1483명), 서울(-1237명) 등 10개 시도는 순유출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 한국여성 평생 0.7명도 안 낳는다…출산율 또 최저
- 10월에도 출생아 2만명 안돼…다시 사상 최저 기록
- 출산율, 전남 0.96명 최고…서울 0.54명 최소
- 대한민국이 OECD 회원국 중 꼴찌 먹은 것은?
- 50년 뒤 한국은 진짜 '노인국'…인구 절반이 63세이상
- 한국은 왜? 저출산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될까
- 출산율 가장 높다는 1분기도 0.76명…역대 최저
- "한국, 출산율·생산성 회복 못하면 2040년대엔 역성장"
- 청년인구 내년 20% 밑으로…2050년엔 10%도 흔들
- 확대되는 Z세대 '젠더 분열'… 피해자 90%가 여성
- 3년 만에 인구증가 기적적 반전 까닭을 알고보니…
- 2분기 출생아 수 반짝 증가…6월엔 다시 역대 최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