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합계출산율 0.65명, 연간 0.72명 불과
작년 출생아 23만명…7년 전 40만명의 절반 수준
세계 최저 기록…올해도 연간 기준 0.7명 밑돌 듯
엔데믹 영향 혼인 건수 늘었지만 출산 기피 여전
저출산 영향에 사망자 줄었어도 인구는 자연감소
지난해 4분기 합계출산율이 사상 처음으로 0.6명대로 떨어졌다. 올해는 연간으로도 0.6명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기록적인 저출산의 영향으로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가 자연감소했다. 사망자 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출생아 수가 더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한국 인구는 지난 2020년 이후 4년 연속 자연감소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 통계'와 '2023년 12월 인구동향' 등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 명으로 전년(24만 9200명)보다 1만 9200명(7.7%) 감소해 지난해에 이어 다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연간 출생아 수는 2016년(40만 6200명)까지 40만 명대를 보였지만, 2017년(35만 7800명) 30만 명대로, 2020년(27만 2300명) 다시 20만 명대로 떨어졌다.
지난해 인구 1000명 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전년보다 0.4명 감소한 4.5명으로 집계됐다.
합계출산율은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한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작년 0.72명으로 전년(0.78명)보다 0.06명 줄며 지난해에 이어 다시 역대 최저를 갈아치웠다. 합계출산율은 2015년(1.24명)을 정점으로 8년째 하락세다. 2021·2022년 각각 0.03명이었던 하락 폭도 지난해 두 배 수준으로 커지는 등 하락 속도도 빨라지는 모습이다.
실제로 작년 4분기 합계출산율은 0.65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0.05명 감소하며 0.70명 선마저 붕괴됐다. 분기 출산율 0.6명 대도 역대 처음이다.
4분기 출생아 수는 5만 2618명으로 1년 전보다 3905명(6.9%) 줄었다. 작년 12월 출생아는 1만 6253명으로 1년 전보다 643명(3.8%) 감소했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최근 3년 중 지난해 합계출산율 감소 폭이 컸다"라며 "코로나19 당시 혼인 건수가 많이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인 유일한 국가다. 여성의 첫째아 출산연령(32.6명)도 회원국 중 가장 많다. 출산율 감소세는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에서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30∼34세 출산율(66.7명)은 전년보다 6.8명 줄어 전 연령대 중 감소 폭이 가장 컸고 25∼29세 출산율(21.4명)은 2.6명 줄어 뒤를 이었다. 증가세를 보이던 40∼44세 출산율(7.9명)은 0.1명 줄면서 다시 7명대로 내려앉았다.
산모 출산 연령도 상승하는 추세다. 여성의 평균 출산연령은 33.6세로 전년보다 0.1세 올랐다. 35세 이상 산모 비중은 전년보다 0.6%p 상승한 36.3%를 기록했다.
정부는 올해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도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통계청이 추계한 올해 합계출산율은 0.68명이다. 지난해 4분기에 처음 기록한 0.6명 대 합계출산율이 올해는 연간 전체로도 이어질 것이란 얘기다.
정부는 코로나 엔데믹 이후 혼인 건수가 증가한 점을 향후 출산율이 개선될 수 있는 긍정적 요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딩크족 증가 등 출산 기피 현상으로 이마저도 무조건 낙관할 수는 없는 형편이다.
이처럼 출생아 수가 급감하면서 우리나라 인구는 2020년 이후 4년째 자연감소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출생아 수는 23만 명인데 반해, 사망자는 35만 2700명으로 사망자가 12만 명 넘게 많았다.
1980년대 우리나라 인구는 연간 60만 명을 넘게 늘었지만, 증가 폭이 계속 줄어 2002년에는 20만 명대를 기록했고 2017년 10만 명대까지 줄어들다가 2019년 7600명으로 1만 명 선이 무너졌다. 2020년에는 아예 감소세로 돌아섰고, 이후 이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 50년간 우리나라 인구가 3600만 명대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통계청이 두 달 전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에 따르면 2022년 5167만 명인 총인구는 2041년 4000만 명대로 줄고, 2072년 3622만 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 10월에도 출생아 2만명 안돼…다시 사상 최저 기록
- 50년 뒤 한국은 진짜 '노인국'…인구 절반이 63세이상
- 1∼3분기 출생아 18만 명에도 못미쳐 '역대 최저'
- 미디어가 저출산 주범…억울하면 진범 찾아내라
- 초혼 고령화 역대급…혼인 건수도 3년째 20만건 밑돌아
- 인구감소 이래서…출생·결혼 줄고, 사망·이혼은 늘고
- 러시아와 미국 사람들이 이해 못하는 한국의 저출산
- 한국은 왜? 저출산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될까
- 출산율 가장 높다는 1분기도 0.76명…역대 최저
- 3년 만에 인구증가 기적적 반전 까닭을 알고보니…
- 2분기 출생아 수 반짝 증가…6월엔 다시 역대 최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