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지난해 일자리행정 통계 결과 발표

코로나 영향 숙박 음식점업은 첫 감소 기록

지난해 일자리가 85만개 증가해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지만 증가분의 절반 이상이 60세 이상 고령층이거나 중소기업에서 나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대

면 서비스 업종인 숙박·음식점업의 일자리는 오히려 처음으로 줄었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21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일자리는 2558만 개로 1년 전보다 85만 개(3.5%)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다. 증가율로도 가장 높다.

사업확장과 기업생성 등으로 새로 만들어진 신규일자리 수가 338만 개, 사업축소와 기업소멸 등으로 사라진 소멸일자리가 252만 개였다.

인구 고령화에 돌봄·의료 수요가 늘면서 관련 일자리도 늘어나는 모습이었다. 코로나19 확산에 정보통신 등 비대면 업종의 일자리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실제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17만개), 보건·사회복지(15만개), 정보통신(8만개) 등에서 많이 늘었다.

전체 일자리 증가에는 고용보험·산재보험 등의 가입률이 늘어난 영향도 있다. 일자리행정통계가 사회보험, 과세자료 등을 바탕으로 근로자가 점유한 일자리를 집계하기 때문이다.

반면 숙박·음식점업은 1만개 줄어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표적 대면 서비스 업종인 숙박·음식점 업황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