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분기 59만7000개 증가, 2분기째 증가폭 둔화
60세이상 31.2만개로 과반…20대 이하는 6천개 불과
작년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는 증가 폭이 둔화되고, 60세 이상 늘어난 일자리의 절반 넘게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2년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으로 집계한 임금근로 일자리는 2019만 6000개로 전년 동기보다 59만 7000개 증가했다. 2021년 4분기(37만 6000개) 이후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분기별 일자리 증가 폭은 작년 1분기(75만 2000개)를 정점으로 2분기(62만 8000개), 3분기(59만 7000개)까지 2분기째 둔화하고 있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 일자리는 31만 2000개 증가하며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작년 3분기 늘어난 일자리 가운데 절반(52.3%) 이상이 60대 이상 노인 일자리였다는 의미다.
50대 일자리가 18만 8000개 늘어 뒤를 이었다. 이어 40대(6만 4000개), 30대(2만 7000개), 20대 이하(6000개) 등의 순이었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10만 2000개), 건설업(9만 9000개), 제조업(7만 4000개) 등에서 일자리가 늘었다.
특히 60대 이상 일자리는 직접 일자리 비중이 높은 보건·사회복지(7만 9000개)에서 주로 늘었고, 20대 이하 일자리는 숙박·음식(2만 6000개)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일자리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의 경우 전자통신(2만개), 기계장비(1만 2000개)에서 일자리가 늘었지만, 섬유제품(-2000개), 기계장비 수리(-2000개) 등에서는 줄었다.
제조업 소분류 가운데는 전자부품(9000개), 반도체(8000개) 등의 일자리가 늘었다.
작년 3분기에 전년 동기와 동일한 근로자가 종사한 지속 일자리는 1398만 9000개(69.3%)였다.
퇴직이나 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42만 5000개(17.0%), 기업체 생성 또는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78만 1000개(13.8%)로 각각 집계됐다.
기업체 소멸이나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18만 4000개였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