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또 언론사 대표 압수수색

(본 기사는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서울중앙지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중앙지검. 연합뉴스 자료사진.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011년 부산저축은행 수사 과정에서 대장동 대출 브로커 조우형의 범죄를 눈감아줬다는 의혹을 제기한 언론사와 기자 등에 대해 검찰이 수사를 벌이는 가운데, 이번엔 뉴스버스 이진동 대표에 대해 강압 수사에 나섰다.

26일 검찰과 뉴스버스 측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대선개입 여론조작 사건' 특별수사팀(팀장 강백신 반부패수사1부장)은 이날 오전 이 대표의 서울 주거지와 뉴스버스 사무실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하고 있다.

검찰이 이 대표에 대해 씌운 혐의는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이다. 뉴스버스가 2021년 10월 21일자 보도를 통해 국민의힘 대선 경선후보였던 윤 대통령의 부산저축은행 사건 무마 의혹을 제기해 명예를 훼손했다는 게 검찰 측 주장이다.

당시 뉴스버스 기사는 대장동 초기 사업자이자 조우형의 알선으로 부산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받았던 씨세븐 대표 이강길 씨 등이 경기경찰청에서 조사를 받을 때 작성된 진술서 내용을 근거로 하고 있다.

해당 보도에는 대장동 초기 사업자인 이 씨가 뉴스버스 기자와 만나 "(부산저축은행 수사 때) 중수부에 간 일이 있는데, 조씨에게 (알선수수료) 10억 3000만 원을 건넨 사실을 대검 중수부가 이미 알고 있었다"고 발언한 인터뷰 내용도 담겨 있다.

 

뉴스버스 윤진희 기자가 2021년 10월 21일 보도했던 '대검 중수부, 2011년 부산저축은행 대장동 대출 비리 은폐' 단독 기사. 뉴스버스 홈페이지 갈무리
뉴스버스 윤진희 기자가 2021년 10월 21일 보도했던 '대검 중수부, 2011년 부산저축은행 대장동 대출 비리 은폐' 단독 기사. 뉴스버스 홈페이지 갈무리

검찰은 뉴스버스가 대선에 개입하려는 목적으로 여론을 조작했다고 주장하지만, 뉴스버스 기사는 국민의힘이 대선후보 경선을 진행하던 시기에 나왔다. 아직 윤 대통령이 대선 후보가 되기 전으로 시기적으로도 대선 개입이라고 하기엔 부적절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검찰은 대선 사흘 전 보도한 뉴스타파의 '신학림-김만배 대화 녹취' 의혹에 대한 수사를 시작으로 대선 경선 과정 전체로 수사 범위를 넓히고 있는 모습이다.

검찰은 9월 14일 뉴스타파 본사 사무실과 기자 주거지를 압수수색한 데 이어 10월 11일 리포액트 허재현 대표기자 주거지, 10월 26일 경향신문·뉴스버스 전·현직 기자 주거지, 12월 6일 뉴스타파 김용진 대표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했다.

강압 수사 대상도 언론사 대표까지 포함하는 등 전방위적이다. 윤 대통령의 부산저축은행 수사 무마 의혹 제기를 이유로 언론사 대표를 압수수색한 것은 리포액트 허재현 대표기자와 뉴스타파 김용진 대표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뉴스버스는 이 대표에 대한 압수수색이 명백한 '언론 탄압'이라는 입장이다.

뉴스버스는 지난 10월 전직 기자 압수수색 당시 낸 입장문을 통해 "보도는 기록에 근거한 팩트 취재에 이씨 인터뷰 내용이 보완하는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며 "특정 후보를 겨냥한 여론 조작 보도가 아닌 대선 후보 검증 보도로 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뉴스버스에 대한 압수수색 시도들은 윤석열 정권에 비판적인 언론들을 겨냥한 '언론탄압'의 연장선"이라며 "윤 대통령 등이 배후로 의심받았던 고발사주 보도 및 현 정권에 대해 비판적인 보도를 해온 뉴스버스에 재갈을 물리고 흠집을 내보려는 시도로 의심된다"고 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