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도 높은 생활물가 1.8%…28개월 만에 1%대 상승

근원물가도 3.9% 그쳐…신선식품은 전월비 4.4% 올라

기저효과 극심…채소류 전월비 7.1↑ 전년동월비 5.3%↓

최근 국제 유가 오름세, 기후 영향 등 감안하면 불안 여전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3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2023.8.2. 연합뉴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3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2023.8.2. 연합뉴스

소비자물가가 역대 최대 폭으로 떨어진 석유류 가격의 영향으로 두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1.20(2020년=100)으로 작년 동월보다 2.3% 올랐다. 2021년 6월(2.3%) 이후 25개월 만의 최저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2월 5.0%에서 올해 1월 5.2%로 소폭 상승한 뒤 2월 4.8%, 3월 4.2%, 4월 3.7%, 5월 3.3%, 6월 2.7%에 이어 지난달까지 계속 낮아지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2023년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023년 7월)

계절 요인이나 일시 충격으로 급등락하는 농산물이나 석유류 등을 제외하고 산출하는 근원물가 상승률도 지난 1월 5.0% 이후 6개월째 내림세를 보이며 지난달에는 3.9%로 떨어졌다. 지난해 4월(3.6%) 이후 15개월 만에 최저치다.

전체 458개 품목 중 구매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작성하는 생활물가지수는 작년보다 1.8% 상승, 2021년 2월(1.7%) 이후 29개월 만에 1%로 내려앉았다. 다만 식품 부문은 장마로 인한 수해 등의 영향으로 4.1% 올라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물가 상승률 둔화 흐름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준 것은 석유류였다. 석유류 가격은 1년 전보다 25.9% 하락하면서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85년 1월 이후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유종별로는 전년 동월과 비교해 경유 33.4%, 휘발유 22.8%, 자동차용 LPG 17.9%가 각각 하락했다. 이같은 석유류 가격 하락은 지난달 전체 물가상승률을 1.49% 떨어뜨린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석유류 가격에 영향을 받는 공업제품과 전기·가스·수도 가격도 둔화 흐름을 보였다. 공업제품의 물가 상승률은 0.0%까지 내려갔고, 폭등을 거듭해 오던 전기·가수·수도의 상승률은 21.1%로 2022년 9월(14.6%) 이후 가장 낮았다.

무더위와 폭우 등 기후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신선식품지수 전월 대비 4.4%, 전년 동월 대비로는 1.3%가 각각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지난해 7월 폭우 등으로 신선식품지수가 크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7월 신선식품지수 상승률은 전월비 6.9%, 전년 동월비 13.0%나 됐다.

 

소비자물가 신선식품 지수
소비자물가 신선식품 지수

기저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은 채소류다. 채소류 물가는 전월 대비 7.1%가 올랐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5.3%가 떨어졌다. 채소류 물가가 전월보다 오른 것은 지난 3월(1.0%) 이후 4개월 만이다. 특히 상추(83.3%), 시금치(66.9%) 등의 물가가 전월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사과(22.4%), 고등어(9.2%), 닭고기(10.1%), 고춧가루(8.3%) 등이 높았다. 국산 소고기·돼지고기 등 축산물 물가는 1년 전보다 4.1% 내렸고, 오징어 등 수산물 물가는 5.9% 상승했다.

8월 이후 물가 동향은 아직 안심할 수 없는 형편이다. 최근 국제 유가가 다시 오름세로 돌아서는 분위기이고, 7월말에 집중됐던 폭우 영향이 온전히 반영된다면 채소류를 비롯한 여러 품목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7월까지는 작년의 기저효과로 물가가 안정된 측면도 있다"며 "기저효과가 사라지는 8월에는 이러한 둔화 흐름이 이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소비자물가 주요 등락률 추이
소비자물가 주요 등락률 추이
소비자물가 품목별 등락률 및 기여도
소비자물가 품목별 등락률 및 기여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