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7%→ 2037년 16%→ 2070년 30.7%
통계청, 고령기준 65~74세, 75세 이상 세분화
고령자 빈곤율 줄었다지만…60% '생활비 부족'
선호하는 장례방법 75세 이상도 75.8% '화장'
75∼79세 40% '일하고 싶다'…시간제 더 원해
오는 2070년이 되면 우리나라 인구 중 30% 이상이 75세 이상 고령자가 되며, 이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 변화'는 고령자의 기준을 65세 이상에서 65~74세와 75세 이상으로 세분화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8.4%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65∼74세의 비중은 10.7%이며, 75세 이상은 7.7%이다.
75세 이상 인구 비중을 OECD 주요 회원국과 비교하면 일본(17.0%), 이탈리아(12.7%), 영국(9.6%), 호주(7.9%) 등보다 낮은 수준이다.
한국의 7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점점 증가해 2037년에 16.0%로 65∼74세 비중(15.9%)을 넘어서고, 2070년에는 30.7%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50년 못가서 우리나라 사람 10명 중 3명이 75세 이상 노인이 된다는 말이다.
2070년 우리나라의 7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이 일본(25.6%), 스페인(24.8%), 이탈리아(24.1%), 폴란드(22.6%), 미국(16.0%) 등 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가장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의 고령자 기준인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37년 31.9%, 2070년 46.4%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지난 2021년 기준 상대적 빈곤율은 76세 이상 고령자가 51.4%, 66∼75세는 30.5%였다. 상대적 빈곤율은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중위소득 50% 이하에 속한 인구 비율을 의미한다.
10년 전보다 고령자 전체로 상대적 빈곤율이 감소했으나, 76세 이상과 66~75세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 격차는 확대됐다. 76세 이상 고령자의 빈곤율은 2011년 55.3%, 66∼75세 고령자는 43.5%로 각각 3.9%p, 13%p 낮아졌다.
평균 생활비와 비교해 실제 소득수준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65~74세, 75세 이상 가구는 각각 59.3%, 63.8%였다. 10명 중 6명은 생활비보다 소득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셈이다.
지난 2021년에는 65~74세 57.5%, 75세 이상은 61.6%여서 두 집단에서 모두 소득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늘어났다.
생활비는 본인·배우자가 주로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74세의 78.7%가, 75세 이상 중에서는 46.0%가 본인·배우자가 부담했다.
본인·배우자가 생활비를 부담하는 경우 65∼74세는 근로·사업소득으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경우가 54.2%로 가장 많았다. 75세 이상은 연금·퇴직급여(42.4%)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난해 기준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65∼74세 고령자는 59.6%를 차지했다. 75∼79세 고령자 중에서는 39.4%가 근로를 희망해 65∼74세보다는 낮았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65∼74세는 11.9%p, 75∼79세는 11.8%p 각각 늘었다.
고령자의 일자리 선택 기준은 65∼74세 중 33.5%가, 75∼79세 중에서는 43.1가 '일의 양과 시간대'를 가장 우선시했다.
고령자들의 희망 일자리 형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일제보다 시간제를 선호했다. 65∼74세의 56.8%, 75∼79세의 79.7%가 시간제 근로를 원했다.
선호하는 장례 방법은 두 그룹 모두 매장보다는 화장이 압도적 높아졌다. 2011년~2021년 10년 사이에 화장을 원하는 비중은 65~74세는 61.2%에서 85.8%로, 75세 이상은 49.9%에서 75.8%로 각각 높아졌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