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물가 5.2%↑…3개월 만에 또 “꿈틀”
공공요금 인상이 주 원인…9개월째 5%대
미국 기준금리 인상 등 불확실성 높아져
진정 기미를 보이던 소비자물가가 3개월 만에 다시 상승 폭이 확대됐다. 공공요금 인상으로 전기, 가스요금이 크게 오른 영향으로 새해 첫 달부터 5.2%를 기록하면서 9개월째 5% 넘는 상승률을 이어갔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5.2% 올랐다. 전달 상승률(5.0%)보다 0.2%포인트 높아져 작년 9월 5.6%에서 10월 5.7%로 오른 이후 3개월 만에 상승 폭이 커졌다.
물가 상승률은 작년 7월 6.3%를 정점으로 추세적으로 진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작년 5월(5.4%)부터 9개월째 5% 이상의 고공 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전월 대비 물가 상승률도 1월 0.8%로 2018년 9월(0.8%) 이후 가장 높았다. 이에 따라 물가가 다시 고공 행진을 계속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환석 한국은행 부총재는 이날 오전 ‘물가 상황 점검 회의’에서 "물가가 원자재 가격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상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소비자물가는 이달에도 5% 내외 상승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은은 중국 방역 정책 완화 이후 예상보다 경제활동이 빠르게 정상화할 것이라는 기대가 확산되고, 리오프닝 영향으로 글로벌 경기 상황이 빠르게 개선될 경우 수요 증대로 국제 원자재 가격에 대한 상방 압력이 커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같은 물가 상승에 대한 정부의 대응에는 최근 수출 부진 등 실물 경기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영향을 주고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늦춰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추가 인상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은 전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려 4.75%로 결정했다.
새해 들어 물가 상승세가 확대된 데에는 공공요금 인상의 영향이 컸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요금이 1년 전보다 28.3% 급등해 별도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작년 4·7·10월에 이어 올해 첫 달에도 전기요금이 인상된 여파다. 작년 세 차례를 합친 인상 폭은 kWh(킬로와트시)당 19.3원이고, 올해 1월 다시 13.1원의 대폭 인상이 단행됐다.
이에 따라 1월 전기료는 전월 대비 9.2%, 전년 동월 대비로는 29.5% 뛰어올랐다.
도시가스는 1년 전보다 36.2% 급등했고, 지역난방비도 34.0% 올랐다.
전체 물가 상승률에 대한 전기·가스·수도의 기여도는 작년 7월 0.49%포인트, 10월 0.77%포인트, 지난달 0.94%포인트로 점점 커지고 있다.
공업제품은 6.0% 올랐다. 공업제품 가운데 석유류 가격은 5.0% 올랐으나 최근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상승 폭은 전월(6.8%)보다 둔화했다.
품목별로도 경유(15.6%)와 등유(37.7%)는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이어간 반면, 휘발유(-4.3%) 물가는 내렸다.
가공식품은 10.3% 올라 전월(10.3%)과 상승률이 같았다. 이는 2009년 4월(11.1%) 이후 최고치다. 특히 빵(14.8%)과 스낵과자(14.0%), 커피(17.5%) 등이 많이 올랐다.
농축수산물도 한파의 영향으로 1.1% 올랐다. 농산물의 경우 0.2% 하락해 전월(-1.6%)에 이어 감소세가 지속됐으나, 농산물 가운데 채소류는 5.5% 올라 상승세로 돌아섰다. 품목별로는 오이(25.8%)와 파(22.8%), 양파(33.0%) 등이 오름폭을 키웠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5.0% 올라 전월(4.8%)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이는 2009년 2월(5.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