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유가 하락으로 10월보다 0.2% 내려 120.42
작년 동월 대비로는 24개월째 올랐지만 상승률 둔화
11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보다 0.2% 내렸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1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는 10월보다 0.2% 내린 120.42(2015년 수준 100)를 기록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 8월 전월보다 0.4% 하락했다가 9월 0.1%, 10월 0.5% 등 2개월 연속 올랐다. 생산자물가지수가 3개월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선 것은 농산물 가격이 크게 떨어지고 국제 유가가 하락했기 때문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그러나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1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6.3% 올라 24개월째 상승세다. 상승률은 6월 10.0%, 7월 9.2%, 8월 8.2%, 9월 7.9%, 10월 7.3%, 11월 6.3%를 기록해 5개월 연속 둔화했다.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이 전월보다 3.2% 내렸다. 수산물이 4.1% 상승했으나, 농산물이 7.8%, 축산물이 0.6% 하락했다.
공산품은 0.2% 내렸다. 국제 유가가 하락하고 경기 둔화 우려에 수요 부진까지 겹치면서 화학제품(-0.9%)과 석탄·석유제품(-1.0%) 등이 내렸다.
전력·가스·수도·폐기물은 전월보다 0.1% 하락했다. 원료비 연동제로 11월 산업용 도시가스 요금이 인하된 영향이나, 12월에는 인상될 예정이다.
서비스는 금융·보험서비스(1.3%) 등이 올랐으나, 운송 서비스(-0.3%) 등이 내려 전월 대비 보합을 나타냈다.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양호한 기상 여건 속에서 가을배추와 무의 생산량이 늘었다"며 "쌀도 소비 감소·재고 증가 등 영향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 팀장은 "축산물의 경우 돼지고기·소고기 등의 사육 두수가 늘고, 수입량도 증가해 전체적으로 가격이 하락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