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1883조원…전분기보다 2.5조원 줄어
가계대출 2000억, 카드대금 2조3000억 감소
주담대 12조원 넘게 늘고 신용대출은 감소
소비 부진으로 올해 1분기 카드 사용액이 크게 줄면서 전체 가계 빚이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 가계대출은 2000억 원 감소에 그쳐 전 분기와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함께 전체 가계 빚을 구성하는 판매신용(카드 대금)은 2조 3000억 원(-1.9%)이나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82조 8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이었던 작년 4분기(12월 말·1885조 4000억원)보다 0.1%(2조 5000억 원) 줄었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속에서도 지난해 2분기(+8조 2000억 원)·3분기(+17조 원)·4분기(+7조 원) 계속 늘었다가, 네 분기 만에 감소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과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가계신용 중 가계대출은 1분기 말 잔액이 1767조 원으로 전 분기 말(1767조 3000억 원)보다 2000억 원 감소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076조 7000억 원)은 12조 4000억 원 늘었지만, 증가 폭이 작년 4분기(+15조 2000억 원)보다 줄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잔액 690조 4000억 원)은 12조 6000억원 줄어 10 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감소 폭도 전 분기(-9조 7000억 원)보다 커졌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이 3개월 사이 3조 2000억 원 늘었지만, 작년 4분기(+11조 4000억 원)와 비교하면 증가액이 3분의 1을 밑돌았다. 보험·증권·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도 4조 6000억 원이나 늘었다. 주택도시기금 대출(디딤돌·버팀목 대출 등)이 기금 재원을 중심으로 실행된 데다 증권사 대출(신용공여)도 증가세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반면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경우 같은 기간 가계대출 감소 폭이 5조 8000억 원에서 8조 원으로 확대됐다.
서정석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신용 위축 배경에 대해 "주택거래량이 작년 말 이후 감소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줄었고, 주택금융공사 모기지(담보대출) 상품이나 디딤돌·버팀목 등의 정책대출 공급도 전반적으로 축소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용대출이 줄어든 것은 금리가 주택담보대출 이용자들이 대환(갈아타기)에 나선 영향도 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1분기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 잔액(115조 8000억 원)은 신용카드사를 비롯한 여신전문회사(-2조 1000억 원) 위주로 2조 3000억 원이나 크게 줄었다. 통상 카드사용이 연말 4분기에 비해 연초 1분기에 줄어드는 경향이 있는 데다 최근 경기 부진으로 인한 소비 감소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