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35억 달러, 9월 42억 달러 줄어

달러 강세에 환율방어, 기타외화 가치하락 탓

보유액 순위 8위에서 석 달 만에 1단계 하락

서울 중구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 2023. 4. 5. 연합뉴스
서울 중구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 2023. 4. 5. 연합뉴스

외환 보유액이 8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줄어들었다. 미국 달러화 강세로 보유 중인 외화자산의 가치가 떨어지고,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환율방어)에 보유하고 있는 달러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외환 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외환 보유액은 4141억 2000만 달러(약 560조 원)로, 8월 말(4183억 달러)보다 41억 8000만 달러 감소했다. 올해 들어 외환 보유액은 월별로 등락을 거듭하다 5월 감소에서 6, 7월 증가로 돌아섰지만 이후 2개월 연속 감소했다. 감소 폭도 지난 8월 35억 달러보다 커졌다.

한은은 달러 가치 상승으로 우리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 감소와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에 보유 달러 소요로 외화 보유고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외환보유액 추이(2023년 9월)
외환보유액 추이(2023년 9월)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9월 말 현재 106.23으로 8월 말(103.16) 대비 3.0% 올랐다. 이에 따라 지난달 엔화 가치는 2.0%, 호주달러화 가치는 1.3% 하락했다. 파운드화, 유로화 가치도 각각 4.5%, 3.3% 내렸다. 그 결과 유로화·파운드화·엔화 등 다른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감소했다.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를 실시한 것도 외환보유액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외환 당국은 지난 4월 국민연금과 올해까지 350억 달러 한도 내에서 외환스왑 거래를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국민연금이 해외 투자를 위해 시장에서 달러를 사들이면 원/달러 환율이 오를 수 있기 때문에 한은의 보유 달러와 국민연금의 원화를 맞바꿔 외환시장의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취지다.

외환보유액을 자산별로 나눠보면 가장 비중이 큰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725억 9000만 달러)이 64억 4000만 달러 줄었고,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특별인출권(SDR·148억 달러)도 2억 5000만 달러 감소했다.

반대로 예치금(174억 달러)은 25억 6000만 달러 늘었고, 금의 경우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같은 47억 9000만 달러를 유지했다.

 

주요국 외환보유액 비교(2023년 8월 현재)
주요국 외환보유액 비교(2023년 8월 현재)

한국의 외환 보유액 규모는 8월 말 기준(4183억 달러)으로 세계 9위 수준이다. 지난 7월 한 계단 올라 8월까지 두 달 연속 8위를 유지했지만, 석 달 만에 다시 9위로 내려앉았다.

외환 보유액은 중국이 3조 1601억 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1조 2512억 달러)과 스위스(8652억 달러), 인도(5982억 달러), 러시아(5817억 달러), 대만(5655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4269억 달러), 홍콩(4184억 달러) 순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