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취업자의 5.6%…2000년 이후 거의 매년 증가세
주휴수당 등 복지 사각지대…일부 고용주 '쪼개기' 악용
지난해 주당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초단시간 취업자는 약 158만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주당 근로시간이 1∼14시간인 취업자는 157만 7000명으로 전년보다 6만 5000명 늘었다. 전체 취업자(2808만 9000명)의 5.6%를 차지한다. 규모와 비중 모두 2000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다.
주 15시간 미만 취업자는 주휴수당, 퇴직금, 유급 연차휴가 등을 받을 수 없고 건강보험 직장 가입자 대상도 아니다. 이 때문에 일부 고용주는 일부러 아르바이트 근로자 여러 명을 '쪼개기'로 고용하기도 한다. 양질의 일자리라고 보기는 어려운 셈이다.
주 15시간 미만 취업자는 2000년에는 43만 6000명(2.1%)에 불과했으나 2005년 59만 6000명(2.6%), 2010년 77만 9000명(3.2%), 2015년 86만 6000명(3.3%)으로 점차 늘었다.
15시간 미만 취업자는 2012년을 제외하고는 매해 전년보다 늘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증가세가 가팔랐다.
주 15시간 미만 취업자는 2018년(109만 5000명·4.1%)에 전년 대비 13만 5000명 늘어 100만명을 넘어섰고, 2019년(130만 2000명·4.8%)에는 전년보다 20만 7000명 급증했다.
코로나19 유행으로 거리두기가 시작된 2020년(130만 4000명·4.8%)엔 2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으나, 2021년(151만 2000명·5.5%) 다시 20만 8000명으로 증가 폭을 키웠다.
지난해 취업자를 산업별로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 분야 주 15시간 미만 취업자가 93만 5000명이었다. 전년보다 4만 4000명 늘어난 수준이다.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분야 주 15시간 미만 취업자는 33만 1000명으로 1만 1000명 늘었다. 농림어업(14만 4000명)에서는 1만 6000명 늘었다.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단시간 근로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고용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기업들이 코로나19 장기화나 경기 침체 등을 고려할 때 불확실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단시간 위주의 일자리를 늘린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