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장문] 언론은 왜 보도는커녕 전화 한 통 없나
민주당과 모의해 허위 보도한 것처럼 단정하더니
수사 진행될수록 어떤 조작도 없었다는 점 드러나
검찰이 퍼뜨린 대통령 명예훼손 '유죄 추정' 의혹
정치적 목적 기획수사…언론자유 끝까지 싸울 것
안녕하세요. 허재현 기자입니다.
허재현 리포액트 대표 기자는 지난해 말부터 윤석열 대통령 명예훼손 보도(이른바 최재경 녹취록 관련 보도) 의혹으로 서울중앙지검 반부패부의 수사를 받아왔습니다. 처음 수사가 시작됐을 때 언론은 마치 더불어민주당과 허재현 기자가 모의하여 허위보도를 한 것처럼 단정하는 보도를 쏟아내었지만 정작 허재현 기자의 무죄 정황이 드러나자 언론은 추가 보도는커녕 확인 전화 한 통 없습니다. 개탄을 금할 수 없습니다.
지난 1일 허재현 기자는 변호사의 입회 하에 서울중앙지검 반부패부(김기왕 검사)에 출석하여 2차 피의자신문을 받았습니다. 이때 검찰은 허재현 기자의 취재에 응했던 취재원에 대한 검찰 조사 내용을 공개하였습니다. 내용은 허 기자가 그간 주장해왔던 내용과 같았습니다.
김기왕 검사는 조사 때 "(허재현 기자가 보도를 목적으로 접촉한 취재원들로부터) '허재현 기자에게 (리포액트가 보도한) 녹취록의 대화 속 주인공이 최재경 전 대검 중수부장이라고 설명해주었다'는 진술을 받았다"는 설명을 직접 하였습니다. 또한 검찰은 허 기자가 입수한 녹취록의 입수 과정과 취재 과정 역시 잘 파악하고 있었고, 허 기자가 어떤 조작 모의도 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사실상 간접 시인하였습니다.
명예훼손 보도에 대해 기소나 처벌이 이뤄지려면 기자가 해당 의혹에 대해 허위임을 명백히 인식한 상태에서 보도했다는 것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검찰 수사가 진행될수록 허재현 기자가 조작 모의는커녕 '부산저축은행사건 조우형 브로커 봐주기 수사가 진실이라고 믿을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었음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허재현 기자는 1일 검찰 조사 직후 이러한 내용을 답은 입장문을 내었지만 유감스럽게도 지금까지 어떤 언론도 허 기자의 주장이 사실인지 여부를 묻는 확인 전화를 해오거나 추가 보도가 없었습니다. 검찰이 퍼뜨리는 '유죄 추정' 의혹은 대서특필하는 언론들이 막상 검찰 수사에 틀린 정황이 나오면 갑자기 침묵해버리는 관행이 다시 반복되는 것입니다.
언론은 객관적이어야 합니다. "검찰의 수사가 조작되었다"고 주장하는 피의자를 무조건 편들어달라는 게 아닙니다. 피의자에게 불리한 팩트만 눈에 불을 켜고 찾을 것이 아니라, 피의자에게 유리한 정황이 확인되거나 혹은 그러한 주장이 나오면 최소한 확인 전화라도 해줄 것을 호소합니다. 특히 이 사건은 대통령에 대한 보도를 이유로 언론사와 기자를 압수수색한 초유의 사건입니다.
애초 허재현 기자에 대해 검찰이 청구한 압수수색 영장에는 ▲허재현 기자가 민주당 보좌관들과 조작 보도를 모의한 구체적 정황이 확인됐다 ▲뉴스타파 봉지욱 기자로부터 자료를 건네받은 구체적 정황이 확인됐다 ▲김만배로부터 돈을 받은 정황(배임증죄)이 확인됐다는 등의 단정적인 내용들이 잔뜩 쓰여있었고 법원은 이에 근거해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해주었습니다. 이에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일이기도 했던 지난해 10월 11일 언론은 대서특필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검찰의 영장 청구 내용은 단 하나도 확인되지 않았고 오히려 수사를 할수록, 검찰이 진상규명보다 윤석열 대통령의 명예를 보호하려는 정치적 목적으로 수사를 진행한 흔적만 확인되고 있습니다. 허재현 기자는 수사 검사들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등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소했으며 공수처가 수사를 벌이고 있음을 다시 한번 밝힙니다.
더불어 허재현 기자는 이번 대통령 지키기 목적으로 진행한 정치 수사의 기획자들을 역으로 밝혀내고, 언론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울 것임을 밝힙니다. 언론의 관심을 부탁합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