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소상공인 경기전망 79.5…4개월 연속 하락

전통시장 전망 지수도 전달보다 6.1p 내린 71.2

지난해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감소가 주된 원인

공적연금 지급액 3.6% 인상…체감물가와는 거리

높은 외식 물가로 인한 소비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종각 젊음의거리, 음식점 등이 밀집해 있지만 한산한 모습이다. 2023.8.3. 연합뉴스
높은 외식 물가로 인한 소비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종각 젊음의거리, 음식점 등이 밀집해 있지만 한산한 모습이다. 2023.8.3. 연합뉴스

희망찬 새해가 시작됐지만, 서민들의 한 해 살이는 출발부터 그리 녹록지 않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경기 전망은 새해가 밝았어도 여전히 어둡기만 하다.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지급액을 물가 상승분만큼 올려준다고 정부는 한껏 생색을 내지만, 공식 집계된 물가상승률 자체가 실생활에서 체감되는 바와 격차가 크기만 하다.

3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조사해 내놓은 소상공인들의 올해 1월 전망 경기지수(BSI)는 79.5로 한 달 전보다 5.4p 하락했다. 전통시장의 BSI도 71.2로 전달 대비 6.1p 떨어졌다.

이번 조사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작년 12월 18~22일 소상공인 2400개 업체와 전통시장 13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수치가 100을 넘으면 경기 호전, 100을 밑돌면 경기 악화로 보는 업체가 더 많다는 의미다.

소상공인-전통시장 체감-전망 BSI 추이
소상공인-전통시장 체감-전망 BSI 추이

1월 소상공인 전망 BSI 79.5는 지난해 7월(73.7) 이후 가장 낮고, 9월 이후 4개월 연속 하락세다. 전통시장 전망 BSI도 두 달 연속 떨어졌다.

소상공인의 1월 전망 BSI를 업종별로 보면 음식점업(-11.9p)이 가장 큰 폭으로 내렸고 소매업(-8.5p), 스포츠와 오락 관련(-7.4p) 등 순으로 하락했다. 전통시장은 축산물(-16.9p)과 의류·신발(-15.2p), 음식점업(-11.1p) 등의 하락 폭이 컸다.

이처럼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경기전망이 악화된 데는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감소가 가장 크게 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

소상공인들은 경기전망 악화 사유(복수 응답)로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감소(48.1%)를 가장 많이 뽑았고 이어 날씨·방학 등 계절적 요인(34.1%), 유동 인구·고객 감소(14.2%), 물가·금리 등의 상승으로 비용 증가(6.9%) 등 순이었다. 전통시장도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감소(39.3%)가 가장 많이 꼽혔고 날씨 등 계절적 요인(36.2%)이 그다음이었다.

설문조사 결과뿐만 아니라 실제 소비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소매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전망지수 추이
소상공인-전통시장 경기전망지수 추이

지난해 12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체감경기도 급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상공인의 지난해 12월 체감 BSI는 59.0으로 전달보다 4.6p 내려 지난해 10월부터 석 달 연속 하락했다. 전통시장의 체감 BSI도 49.7로 전달보다 17.3p나 떨어져 지난해 7월(40.7) 이후 처음 50 미만을 기록했다.

특히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체감 BSI는 전망 BSI와 30p 가까운 격차를 보인다. 체감되는 경기가 더욱 나쁘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지난해 이후 월별 소상공인의 체감 BSI는 전망 BSI보다 16.3~27.5p나 낮았다. 전통시장의 체감-전망 BSI 격차도 지난해 이후 월별로 11.5~32.7p에 이르고 있다.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의 월 수령액이 1월부터 3.6% 인상된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국민연금공단 종로중구지사 모습. 2023. 3. 2 연합뉴스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의 월 수령액이 1월부터 3.6% 인상된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국민연금공단 종로중구지사 모습. 2023. 3. 2 연합뉴스

올해 1월부터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등 공적연금의 지급액이 작년보다 3.6% 인상된다. 지난해 물가상승률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공적연금 지급액 산정에 물가 변동을 반영했기 때문에 개인연금 등과는 달리 물가상승으로 인한 실질 가치의 하락을 피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정부의 이 같은 설명은 몇 가지 점에서 생색내기에 지나지 않는다.

우선 물가상승률을 반영했다고 하지만 서민들이 느끼는 생활물가는 3.6% 정도가 아니라 훌쩍 두 자리 수를 넘는다. 전기 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과 외식물가 등의 오름폭은 정부의 공식 물가상승률 발표와는 큰 격차를 보인다. 더구나 공공연금은 설계 당시부터 인플레를 반영한 보험료를 산정했다. 연금 가입자들이 평생 납부해 온 보험료로 지급액을 찔끔 올려 주고서 내놓는 생색이 지나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