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고용동향…취업자 27.7만명 늘었다지만

60세 이상이 29.1만명…노인 빼면 줄어든 셈

15~29세 청년층 6.7만명 줄어 13개월째 감소

실업자 1.1만명 늘어 32개월 만에 증가세 전환

2개월 연속 30만 명을 넘었던 월간 취업자 증가 수가 다시 20만 명대로 꺾였다. 취업자 증가가 고령층에서는 큰 폭으로 일어나고, 정작 청년층은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도 이어졌다. 제조업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1개월 연속 감소를 이어갔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 수는 2869만 8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7만 7000명(1.0%) 늘었다. 취업자 증가 수는 지난 7월 21만 1000명에서 8월에는 26만 8000명으로 확대됐고, 9월과 10월에는 각각 30만 9000명과 34만 6000명까지 늘어났다. 두 달 연속 30만 명대를 기록했던 취업자 증가 수는 석 달 만에 다시 20만 명대로 축소됐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11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2023.12.13. 연합뉴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11월 고용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2023.12.13. 연합뉴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축소된 것은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 과정에서 증가했던 부분이 빠진 기저효과 영향"이라며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연간 단위로 굉장히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취업자 증가가 지나치게 고령자 위주로 돼 있는 현상도 계속됐다.

15세 이상 전체 취업자 증가 수보다 60세 이상 증가 수가 더 많았다. 전체 증가는 27만 7000명이지만 60세 이상은 29만 1000명이나 늘었다. 구체적인 연령대별로 보면 15~29세는 6만 7000명, 40대는 6만 2000명이 줄었고, 30대는 8만명, 50대는 3만 6000명이 늘었다.

60세 이상이 늘어난 규모를 제외하면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종합적으로 1만 3000명이 줄어든 셈이다. 특히 15~29세 청년층은 지난해 11월 이후 13개월째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취업자 증가 추이 (2023년 11월 고용동향)
취업자 증가 추이 (2023년 11월 고용동향)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가 1만 1000명 감소했다. 올해 1월 이후 11개월 연속 감소세다. 교육서비스업(-5만 7000명), 부동산업(-3만 명) 등에서도 취업자 수가 줄었다. 반면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이 8만 9000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8만 5000명 늘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1%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4%p 상승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 이후 11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15∼64세 고용률은 0.6%p 상승한 69.6%로 집계됐다.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11월 기준으로 가장 높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67만 7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 1000명 늘었다. 실업자 수가 늘어난 것은 지난 2021년 3월 이후 32개월 만이다. 실업자를 성별로 보면 남자는 39만 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만 3000명(6.2%) 증가한 반면 여자는 28만 3000명으로 1만 2000명(-4.0%) 감소했다. 실업률은 2.3%로 전년 동월과 같았다. 청년층 실업률은 5.3%로 0.4%p 하락했다.

2023년 11월 고용동향
2023년 11월 고용동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