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현재 은행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 2.9%

작년 8월보다 0.9%p 올라 8년 만에 최고치

고금리 장기화 서민 소액 대출에 짙은 그늘

연체율 일반 가계‧기업대출의 6~7배나 높아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최근 은행의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이 3%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치솟았다. 특히 현금 서비스와 카드론 등 주로 서민들이 이용하는 신용카드 대출의 연체율이 전체 일반은행 가계대출이나 기업대출의 연체율의 6~7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어서 우려를 낳고 있다.

은행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 추이
은행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 추이

1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을 포함한 일반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은 지난 8월 말 현재 2.9%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0.9%p 상승한 수준이며, 지난 2015년 8월의 3.1%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은 연체율이다.

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은 하루 이상 대출금 원금 연체를 기준으로 산출한다.

일반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은 2014년 11월(3.4%)을 고점으로 점차 하락해 지난해 9월 1.8%까지 떨어졌다. 올해 들면서 1월 2.2%로 상승한 이후 2월 2.5%, 5월 2.7%로 오름세를 보였고, 하반기 들어 3% 가까이 뛰어올랐다.

지속적인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은행들의 전체 대출금 연체율도 상승 추세를 보였다. 지난 8월 말 기준 일반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은 0.4%로 4년 만에, 기업대출 연체율은 0.5%로 3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은행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 급등. [연합뉴스 자료사진]
은행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 급등. [연합뉴스 자료사진]

하지만 카드대출 연체율은 가계대출의 7.3배, 기업대출의 5.8배 높은 수준이다.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은행의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이 유독 급증한 것이다. 카드론 등 은행 신용카드 대출고객은 다중채무자인 경우가 많고, 급전이 필요해 이용하는 취약 차주가 대다수여서 고금리 장기화의 그림자가 서민층에 짙게 드리우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드러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카드 대출은 가계대출 등과 비교하면 소액"이라며 "소액 대출조차 연체하는 고객이 늘어나는 것은 그만큼 경제가 어렵다는 부정적인 신호"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