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70돌 맞아 미술, 문학, 춤, 연극, 영상, 국악 등
"정전협정의 평화협정 전환" 예술인 난장 예고
온라인으로 세계예술인 대상 참가신청 받아
강산에·문성근·박재동·윤정모·송경동·정지영 등 참여
당일 '세계 예술인 한반도 평화선언' 발표하기로
(본 기사는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예술인들이 7월 27일 남북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임진각과 DMZ 인근에서 '세계 예술인 한반도 평화선언'을 내놓는다.
'2023 세계예술인 한반도평화선언 조직위원회'(조직위)는 21일 "한국전쟁 정전 이후 70년 이상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예술인들이 나서서 한민족의 평화와 안녕뿐 아니라 세계평화를 위해 정전협정은 평화협정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취지의 '세계예술인 한반도 평화선언'에 동참해 줄 것"을 호소했다.
이를 위해 조직위는 '세계예술인에게 드리는 제안문'을 발표하고 문학, 영화영상, 미술, 음악, 춤, 연극, 국악, 퍼포먼스 등 여러 분야 예술인들에게 '평화선언' 참가신청을 받고있다.
'평화선언' 취지에 동의하는 예술인들은 △예술행동으로 참가 △홈페이지 갤러리에 작품 등록으로 선언에 동참할 수 있으며 자신의 작업실에서 현장중계 링크를 통해 참가할 수도 있다.
조직위는 참가신청을 한 예술가들에게 임진각 또는 DMZ 인근에 난장을 펼쳐 예술품 전시, 현장 퍼포먼스를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미술작가들은 7월 27일 임진각 행사에 앞서 작품을 출품하고, 음악, 춤, 국악, 연극 등 퍼포먼스 작가들은 조직위의 기획에 따라 당일 행사장에서 공연을 펼칠 수 있다.
참가 신청자들의 작품(현장 전시 또는 공연과 다를 수 있음)은 조직위 홈페이지(www.artpeace2023.org)에서 미리 만날 수 있다.
이에 앞서 조직위는 지난달 26일 서울 종로구 수운회관에서 발기인대회를 갖고 <세계 예술가들에게 드리는 제안문>을 채택,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가수 강산에, 국악인 김영동, 배우 문성근, 화가 박재동 신학철, 소설가 황석영 윤정모 현기영, 시인 송경동, 영화감독 정지영 씨 등 문화예술계 100여 인사들이 조직위원회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아래, 제안문과 발기인 명단)
<시민언론 민들레>가 올라온 여러 작품 가운데 그림 등 미술 작품을 두 번에 나눠 선보인다.
세계 예술가들에게 드리는 제안문
2023년 7월 27일은 한국전쟁에서 남북간에 정전협정을 맺은 지 7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한국 전쟁은 한민족의 엄청난 비극일 뿐 아니라 국제적인 분쟁으로 확대되어 더 큰 희생을 치렀습니다.
이런 불안정한 상태가 70년 동안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여 한반도의 평화는 한민족의 평화와 안녕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전 세계의 평화를 위해서 하루 빨리 평화 협정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하지만 요즈음의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는 또 다시 전쟁이 재개될 듯한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강대국들의 간의 이분법적인 대립구도가 강화되고 한반도 주변에서의 군사훈련들이 확대되면서 핵 무력 사용이라는 단어까지 서슴지 않고 나오는 실정입니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을 보더라도 지금 시대의 전쟁은 단지 지구 저편 한 곳에서의 일어나는 작은 비극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세계가 동시에 겪게 되는 비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어떠한 전쟁이든 멈추어야 하고 다시는 어떤 곳에서도 전쟁이 일어나서는 안됩니다.
이에, 평화를 자기 사명으로 하는 예술가들이 나서서 한반도의 전쟁을 반대하는 <2023 세계예술인 한반도 평화선언>에 동참하여 주실 것을 전세계 예술인들에게 제안 드립니다.
시대가 어두우면 예술이 가장 먼저 불을 밝힌다는 말처럼 평화를 사랑하는 전세계 예술가들의 연대의 힘을 보여 주십시오.
자연과 사람 가까이에서 파괴보다는 생산을 죽음보다는 생명을 더욱 소중하게 만들어가는 것이 예술의 힘임을 보여주십시오.
<2023 세계예술인 한반도평화선언>의 동참에 서명하는 것과 더불어 여러분들의 소중한 작품들인 시, 소설, 에세이, 음악, 노래, 춤, 그림, 사진, 영상, 웹툰, 게임, 연극, 풍물 등 모든 장르의 예술을 조직위원회 홈페이지(www.artpeace2023.org)에 올려 더 많은 이들이 평화의 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주십시오.
평화선언에 함께 하는 예술인들의 이름들로 2023년 7월 27일 한국전쟁 정전협정과 관련된 분단의 상징들이 쌓이고 녹아있는 임진각과 DMZ인근에서 2023 세계예술인 한반도 평화선언을 전세계인들에게 천명할 것입니다.
동시에 7월 27일 각자 여러분이 있는 곳에서 평화 선언의 뜻에 동참하는 행동들을 진행하여 주십시오. 홈페이지에 함께 공유하여 주십시오.
우리 예술가들의 조그마한 노력이 지구 평화의 불을 밝히는 불씨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2023년 5월 26일 천도교 중앙교당 수운회관에서 2023 세계예술인 한반도평화선언 조직위원회 발기인 일동
강산에 강연희 강욱천 고경일 공광규 권위상 김경윤 김교학 김남일 김명수 김영동 김인수 김원중 김서경 김운성 김정헌 김중기 김재국 김천일 김창규 김평수 김홍주 나기수 남명렬 노경식 두시영 문성근 문진오 민정진 문창길 박관서 박두규 박성석 백낙청 박상규 박정의 박재동 유진규 박종화 박희정 서라백 손병휘 손정우 송경동 신웅식 신학철 양문규 양은숙 염무웅 오종선 우종민 유홍준 윤해경 윤정모 이규배 이덕규 이도윤 이두찬 이위발 이상엽 이성호 이씬정석 임종철 여태명 이두희 이득규 이삼헌 이준동 이종승 이해성 이찬현 이철수 이하 이흥렬 장순향 장대송 정세훈 정희성 전수일 전영문 전영일 정지영 정지창 주홍 정경모 조병진 조재현 채희윤 채승훈 최유정 최기우 한승태 현기영 황석영 jean paul naingmon aungthwin Okamoto Hagoromo Okamoto Yuka tinatko ye shan
관련기사
- [온라인 전시회] '관동대지진 100년 만의 통곡'
- 한국도 일본도 쉬쉬 하며 여는 '관동대학살 추모전'
- [촛불 일꾼 ④] "어느덧 촛불전속" 사진작가 이호
- 항공모함서 기업을 보라? 시대착오적 '수출입국론'
- 굿, 바이 망명 작가 온라인전 5…절망하지 말라
- 굿, 바이 망명 작가 온라인전 4…이름을 부르며 꽃을 든다
- 굿, 바이 망명 작가 온라인전 3…골룸의 최후와 기자들
- 굿, 바이 망명 작가 온라인전 2…대통령과 '헤어질 결심'
- 민들레가 '굿, 바이 망명 작가 온라인전'을 엽니다
- "국회가 표현의 자유 침해" 새벽 기습 철거에 비판 쇄도
- "강만길, 식민사관과 격투 벌여 많은 이들이 깨어났다"
- 정전협정 70주년 맞은 화가 등 작가들의 '온라인 전시회'
- "윤석열 정부, 불필요하게 북한 자극하며 전쟁 부추켜"
- 오늘 정전 70주년…화가 등 작가들의 '그림 전시회'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