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대학살 만행 고발하고 희생자 추념하는 전시회

박재동·이하·고경일 작가 등 작품 26점 소개

일본은 관동지역의 미술관, 한국은 ‘탄압’ 우려로 미정

 

한국과 일본 두 나라 예술가들이 오는 8월 15일 광복절을 기념해 <관동대지진 100년 만의 통곡 아이고 전>을 연다. 1923년 9월 1일 벌어진 일본의 관동대학살 만행을 고발하고 희생자들을 추념하는 전시회다.

먼저 8월 15일~21일 일본 관동 지역의 한 미술관에서 전시회를 갖기로 확정했다. 구체적 장소는 일본 우익의 방해를 우려하는 작가들의 의견에 따라 밝히지 않는다. 한국 전시회의 날짜와 장소는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 작가들은 서울 여의도 국회 로비를 희망하고 있지만, 지난 1월 같은 장소에서 <굿바이전 인 서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국회 사무처로로부터 작품을 강제철거 당하는 ‘악몽’을 겪었기 때문에 신청을 망설이고 있다. 작가들은 경우에 따라 태극기 부대 등 한국 극우의 방해와 정치적 탄압을 피해 서울 모처의 한 갤러리에서 전시회를 열 생각도 하고 있다. 역시 작가들의 의견을 따라 구체적 장소는 밝히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박재동·이하·고경일·조아진 작가 등 36명이 참여한다. 국회 로비에서 <굿바이전 인 서울>을 열려다 국회사무처의 작품 철거로 무산되자, 서대문구 충정로 딴지 사옥 벙커1에서 <굿바이 망명 작가전>을 강행했던 작가들이 대거 참여했다. 일본에서는 오카모토 하고로모 작가 등이 참여한다. 재일동포 작가도 함께한다.

두 나라 작가들은 모두 5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유화·아크릴화·사진·만화 등 작품부터 입체 조형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시민언론 민들레>가 17명 작가의 작품 일부를 먼저 소개한다. 다른 작가의 다른 작품들도 준비 또는 완성되면 소개할 계획이다.

 

'간토 학살' 박재동 작
'간토 학살' 박재동 작
'간토 학살' 박재동 작​​​​​​​
'간토 학살' 박재동 작
'소녀상' 이하 작​​​​​​​
'소녀상' 이하 작
‘땋은 머리’ 하전남 작
‘땋은 머리’ 하전남 작
'제노사이드' 조아진 작.   ‘주고엔 고짓센’은 ‘15엔 50전’이란 뜻의 일본말이다. 관동대지진 때 일본 자경단원 들은 조선인에게는 어려운 발음인 ‘주고엔 고짓센’을 말해보라고 시켰다. 제대로 발음하지 못 하면 죽였다. 그들은 같은 이유로 “기미가요를 불러 보라” “에도 시대의 유행가를 불러 보라”고 시키기도 했다.
'제노사이드' 조아진 작.   ‘주고엔 고짓센’은 ‘15엔 50전’이란 뜻의 일본말이다. 관동대지진 때 일본 자경단원 들은 조선인에게는 어려운 발음인 ‘주고엔 고짓센’을 말해보라고 시켰다. 제대로 발음하지 못 하면 죽였다. 그들은 같은 이유로 “기미가요를 불러 보라” “에도 시대의 유행가를 불러 보라”고 시키기도 했다.
'제노사이드' 조아진 작
'제노사이드' 조아진 작
'불령선인의 묘' 조아진 작. 일본 작가 노사카 아키유키의 소설 '반딧불이의 묘'를 모티프로 만든 작품이다. 한국에서는 원작 소설보다 애니메이션이 더 유명하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고아 오누이가 고통을 겪다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그렸다. 오빠는 죽은 동생의 뼈를 사탕 깡통에 담아둔다. 결국 오빠도 어떤 역에서 죽는다. 오빠를 발견한 역무원이 사탕 깡통을 집어들어 어둠 속 허공으로 던지자 뼈와 함께 반딧불이 날아오른다.
'불령선인의 묘' 조아진 작. 일본 작가 노사카 아키유키의 소설 '반딧불이의 묘'를 모티프로 만든 작품이다. 한국에서는 원작 소설보다 애니메이션이 더 유명하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고아 오누이가 고통을 겪다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그렸다. 오빠는 죽은 동생의 뼈를 사탕 깡통에 담아둔다. 결국 오빠도 어떤 역에서 죽는다. 오빠를 발견한 역무원이 사탕 깡통을 집어들어 어둠 속 허공으로 던지자 뼈와 함께 반딧불이 날아오른다.
'제노사이드' 조아진 작. 피카소의 '게르니카'를 패러디한 작품이다. 독일군은 스페인 내전 당시, 1937년 4월 26일 스페인 게르니카 지역 일대를 비행기 24대로 폭격했다.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됐다. 피카소는 이 참상을 대작으로 그려냈다.
'제노사이드' 조아진 작. 피카소의 '게르니카'를 패러디한 작품이다. 독일군은 스페인 내전 당시, 1937년 4월 26일 스페인 게르니카 지역 일대를 비행기 24대로 폭격했다.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됐다. 피카소는 이 참상을 대작으로 그려냈다.
'탄내' 이순려 작
'탄내' 이순려 작
'감자밭' 오카모토 하고로모
'감자밭' 오카모토 하고로모
아트만두 작​​​​​​​
아트만두 작
백영욱 작​​​​​​​
백영욱 작
'국가의 시계' 마에야마 타다시 작
'국가의 시계' 마에야마 타다시 작
'버려진1’ 김사리 작)
'버려진1’ 김사리 작)
'사과' 김명화 작
'사과' 김명화 작
'무화과' 김명화 작
'무화과' 김명화 작
'이별' 김동범 작
'이별' 김동범 작
고경일 작​​​​​​​
고경일 작
고경일 작
고경일 작
'리멤버 제노사이드'  레오다브 작
'리멤버 제노사이드'  레오다브 작
'아가를 찾아서' 김운성 작
'아가를 찾아서' 김운성 작
'묻히다'  하전남 작
'묻히다'  하전남 작

 

'프리덤'  이하 작
'프리덤'  이하 작

 

 

'주고엔 고짓센'  유준 작.  
'주고엔 고짓센'  유준 작.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