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전기료 지수 역대 최고

작년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 여파 본격 물가 반영

공공요금 누적 인상분 반영될 2분기 이후 더 문제

소득 하위 40% 연료비 20%↑…서민 더 큰 부담

올해 1분기 전기, 가스요금이 1년 전보다 30%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건물의 가스계량기 모습. 2023.5.22. 연합뉴스
올해 1분기 전기, 가스요금이 1년 전보다 30%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건물의 가스계량기 모습. 2023.5.22. 연합뉴스

올해 1분기 가정용 전기·가스요금이 1년 전보다 30% 이상 올랐다. 요금 상승으로 인한 부담 증가는 저소득 가구에게 더 큰 부담이 된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분기 전기, 가스 및 기타 연료 물가지수는 135.49(2020년=100)로 작년 동기보다 30.5% 올랐다. 외환위기가 발생했던 1998년 1분기(41.2%)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전기, 가스 및 기타 연료 물가지수는 전기료, 도시가스, 등유 등 주로 가정에서 쓰는 연료의 가격 동향을 보여준다.

연료 종류별로 보면 전기료의 물가지수가 136.48로 작년 동기 대비 29.5% 상승했다. 이는 1975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겨울 난방과 취사에 주로 쓰이는 도시가스 물가는 129.00으로 36.2% 올랐다. 서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등유 물가도 171.14로 23.6% 상승했다.

지난해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의 영향을 받은 공공요금 급등의 여파가 본격적으로 물가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전기요금은 세 차례(4·7·10월)에 걸쳐 kWh(킬로와트시)당 19.3원 올랐고, 올해 1월에도 13.1원 인상됐다. 도시가스 요금도 지난해 4차례에 걸쳐 MJ(메가줄)당 5.47원 인상됐다.

정부는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의 영업손실 및 부채 증가 등을 이유로 지난 16일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을 한 차례 더 인상했다.

이에 따라 요금 누적 인상분이 반영되는 2분기 이후에도 전기·가스 물가는 가파른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기·가스요금 상승은 서민 가구에 더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4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연료비로 지출한 금액은 평균 7만 6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만 2025원(20.7%) 늘었다.

2분위 연료비 지출액은 7만 4634원으로, 전년보다 1만 3459원(22.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평균 연료비는 11.5% 증가했다.

중산층인 3·4 분위 가구의 연료비는 각각 16.0%, 15.3% 증가했다. 전체 평균 증가 폭은 16.4%였다.

연료비는 조명, 냉난방, 취사 등에 지출하는 비용이다. 전기료와 도시가스, LPG 연료, 등유, 연탄 등이 포함된다.

올해 여름 기온이 예년보다 높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에너지 요금 인상이 취약 계층의 '냉방비 폭탄'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