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공수단 복장 괴한들 광주 탈출 시도"

한달 뒤 "미확인 시신들 북한 간첩일 수도"

경찰·언론, '이창용 간첩 사건' 광주와 연계

80위원회, 육군대책위, 511위 일부 인사 왜곡조작 확인

(본 기사는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27일 광주 북구 망월묘지공원 인근 도로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을 풍자한 작품 518점을 실은 트럭이 줄지어 달리고 있다. 작품은 5·18 40주년 저항의 밤 문화제가 열리는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으로 집결한다. 2020.6.27. 연합뉴스
27일 광주 북구 망월묘지공원 인근 도로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을 풍자한 작품 518점을 실은 트럭이 줄지어 달리고 있다. 작품은 5·18 40주년 저항의 밤 문화제가 열리는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으로 집결한다. 2020.6.27. 연합뉴스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왜곡과 조작이 계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일부 확인됐다.

16일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가 대국민 보고회를 통해 밝힌 조사 내용에 따르면, 전두환씨는 5월 항쟁이 한창이던 1980년 5월 22일 언론사주들과 간담회에서 “지금 공수단 복장 괴한들이 광주를 빠져나가려 하고 있어 해안선 등을 철저하게 봉쇄하고 있다”라고 발언했다.

전씨는 같은 해 6월 14일 미국상공회의소 관계자 면담에서도 “미확인 시신 22구가 있는데 이들이 전부 북한 간첩일 수 있다”라고 언급하는 등 전씨가 5·18 당시부터 광주 상황을 북한과 연계시키는 발언을 한 사실이 기록을 통해 확인됐다.

또 5월 24일 서울시경찰국이 ‘광주 시위선동 임무를 띠고 남파된 간첩’ 이창용을 검거했다고 발표하자, 언론 역시 일제히 같은 제목으로 보도함으로써 5·18민주화운동이 북한 간첩의 선동으로 조종된 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당시 간첩 이창용은 5월 16일 전남 보성 해안으로 침투 후 서울, 부산, 순천 등을 전전하였고, 광주는 잠입한 사실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것이다. 그리고 검거 기자회견은 제대로 수사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5·18민주화운동과 광주 상황을 북한의 사주와 선동으로 왜곡하려는 불순한 의도로 급조된 것으로 조사위는 판단하였다.

조사위는 정보기관과 군이 전씨와 신군부 세력의 집권 정당성을 확보하고 불법 행위를 은폐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기록을 조작하고 왜곡을 일삼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확인하고 있다

정권을 장악한 신군부는 1985년 5·18 진상규명 요구가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르자 범정부 차원의 광주사태진상구명 실무위원회(일명 80위원회)를 조직해 대응했다.

이어 1988년 국회 청문회를 앞둔 상황에서는 국방부 차원의 511위원회, 보안사의 511 대책반을 결성했는데 조사위는 이들이 군 기록을 변경하고 계엄군 체험수기 내용을 변조했는지 등을 확인하고 있다. 특히 ‘육군대책위원회’ 관련 계엄관리 장교 한모 외 3명, ‘511위원회’ 관련 전담실무위원 서모 외 4명, ‘511분석반’ 관련 분석반장 조모 외 2명을 조사하여 이들이 일부 왜곡 및 조작에 관여한 사실을 확인했다.

조사위 관계자는 "기록 조작, 변조에 직·간접으로 개입된 인사들에 대한 대인 조사에 중점을 두고 조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