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수출액 659억 달러 역대 최대치
슈퍼 사이클 올라탄 반도체가 견인차
자동차 수출도 9월 기준 사상 최고액
9개 주요 지역서 미국 빼고 모두 증가
(본 기사는 음성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방위로 벌이는 관세 전쟁의 아수라장 속에서도 한국의 양대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이 기염을 토했다.
9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2.7%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 수출액은 역대 최대 기록을 다시 쓰면서 우리나라의 전체 수출 실적을 밀어 올렸다. 반도체는 슈퍼사이클에 돌입한 것으로 판단되는만큼 최소한 2~3년 동안은 우리나라의 수출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관세 영향을 크게 받는 자동차 수출도 유럽 등지에서 활로를 찾는 등 수출 다변화를 통해 역대 9월 기준 최대 기록을 세웠다.
트럼프발 관세전쟁의 폭풍 속에서도 반도체와 자동차가 오히려 최대 실적을 찍는 마당에 이재명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상에서 숙이고 들어갈 까닭이 전혀 없다.
관세 전쟁 아수라장 속에서도 9월 수출액 659억 달러 찍어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수출입 동향' 자료에 따르면 9월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12.7% 증가한 659억 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 3월(638억 달러) 이후 3년 6개월만에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월간 수출은 지난 6월부터 4개월 연속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9월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데는 지난해에는 9월이던 추석 연휴가 올해는 10월로 넘어가 9월 조업일이 4일 늘어난 영향도 부분적으로 있었다. 다만 조업일 증가 요인을 배제해도 일평균 수출액은 27억 5000만 달러에 달해 역대 9월 중 2위의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다.
슈퍼사이클 올라탄 반도체 수출의 견인차 역할 수행 중
주요 수출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 수출이 지난해보다 무려 22.0% 증가한 166억 1 000만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인공지능(AI) 서버를 중심으로 HBM, DDR5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품 수요가 강했고, 메모리 고정가격도 양호한 흐름을 지속했다.
주목할 대목은 반도체가 슈퍼사이클을 올라탔다는 사실이다. 9월 30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9월 PC용 D램 범용 제품(DDR4 8Gb 1Gx8)의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달보다 10.5% 오른 6.3달러로 집계됐다. DDR4 평균 고정거래가격이 6달러를 넘어선 건 2019년 1월 이후 6년 8개월 만이다.
데이터센터 등에 탑재되는 서버용 DDR5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주요 메모리 업체들이 구형 제품인 DDR4 공급을 줄인 것이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내년에도 주요 메모리 업체들은 첨단 공정 생산능력을 서버용 D램에 집중할 전망이다. 트렌드포스는 4분기 D램 가격이 전 분기 대비 3∼8%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메모리카드·USB용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의 9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전월보다 10.6% 오른 3.79달러를 기록해 9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낸드플래시 범용 제품 가격은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전월 대비 4.57%, 5.29%, 9.61%, 11.06%, 4.84%, 6.57%, 8.67% 오르다 지난달에 전월 대비 1.12% 증가하며 상승세가 꺾였지만, 한 달 만에 가파른 성장세를 회복했다.
반도체가 초호황 국면에 진입함에 따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영업이익 10조 원 클럽에 동반입성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주요 증권사 리포트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최근 한 달 새 24% 이상 상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8조 원 안팎으로 잡히던 전망치가 10조 원을 훌쩍 넘기고 있다. SK하이닉스 역시 기존 8조 원대 전망에서 10조 7000억 원까지 상향됐다.
미국 수출은 줄었지만 수출국 다변화로 돌파해
자동차 수출액도 순수전기차(EV)·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와 내연기관차 수출이 모두 증가하면서 64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6.8% 증가해 4개월 연속 증가 흐름이 이어졌다. 9월 자동차 수출액은 역대 9월 중 최대 실적이다.
이 밖에 일반기계(10.3%), 석유제품(3.7%), 선박(21.9%), 차부품(6.0%), 디스플레이(0.9%), 바이오헬스(35.8%), 섬유(7.1%), 가전(12.3%) 등 다른 주력 품목의 수출도 동반 증가했다.
9대 주요 지역 중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미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9월 대미 수출은 지난 해 보다 1.4% 감소한 102억 7000만 달러를 나타냈다. 반면 대중국 수출은 116억 8000만 달러로 지난 해보다 0.5% 증가했다. 또한 아세안(17.8%), EU(19.3%), 중남미(34.0%), 일본(3.2%), 중동(17.5%), 인도(17.5%), 독립국가연합(CIS)(54.3%) 등 주요 지역 수출도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9월 수입은 564억 달러로 지난 해 보다 8.2% 증가했다. 이로써 9월 무역수지는 95억 60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한 대미 수출이 위축되는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수출 시장 포트폴리오를 신속히 다변화해 이룬 값진 성과”라며 “아직은 미 관세 협상 등 우리 수출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으로 경각심을 갖고 기민한 대응을 해나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트럼프 정부와의 협상에서 숙이고 들어갈 이유 없어
9월 수출액이 사상 최대를 찍었다는 통계는 많은 것을 시사한다. 우리나라가 트럼프발 관세전쟁의 폭풍 속에서도 이런 실적을 올렸기 때문이다. 속단할 일은 아니지만 트럼프가 관세전쟁을 지속한다고 해도 우리나라가 능히 감내할 체력과 능력을 지니고 있음이 증명된 셈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재명 정부는 오직 국익 수호라는 가치만을 바라보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무도한 요구를 단호히 거절해야 한다.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한 3500억 달러 선불 투자는 우리나라가 수용할 수도 없고 수용해서도 안 되지만, 설사 그걸 받아들인다고 해서 그게 끝이라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트럼프 정부와 그 정부를 지탱하는 지지그룹의 성격을 봤을 때 3500억 달러 대미 선불 투자는 새로운 시작일 확률이 압도적으로 높다.
다행히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가 슈퍼사이클에 올라탔다. 이재명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협상에서 꿀릴 하등의 이유가 없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