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은행, 한 달 만에 0.1p 내려 1.7%

JP모건은 1.3%… 이유는 불확실성

내년 성장률도 1.8%에 그칠 것 예상

한국 2년 연속 1%대 성장 역대 처음

물가도 환율 급등으로 상승 압박 클듯

미국 투자은행인 JP모건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8개 해외 투자은행들 중 가장 낮은 1.3%로 전망했다. 사진은 JP모건 본사 안내석. 연합뉴스
미국 투자은행인 JP모건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8개 해외 투자은행들 중 가장 낮은 1.3%로 전망했다. 사진은 JP모건 본사 안내석. 연합뉴스

해외 투자은행들이 보기에도 올해 한국 경제는 불안하기만 하다. 12·3 내란 사태는 물론 이후 처리 과정에서 불확실성이 해소되기는커녕 더욱 짙어지기 때문이다. 국내 전망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1월말 올해 성장률을 1.9%로 전망했고, 지난 2일 나온 정부 전망치는 이보다 낮은 1.8%였다.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시간이 갈수록 우리 경제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7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8개 해외 투자은행(IB)들이 전망한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는 1.7%로 내려갔다. 지난해 11월 말 평균 1.8%에서 한 달 만에 0.1%p 낮아졌다. IB 평균 전망치는 지난해 9월 말 2.1%에서 3분기 수출 감소를 확인한 직후인 10월 말 2.0%로 떨어진 뒤 12월 말까지 석 달 연속 내림세를 기록했다.

이번 해외 IB 평균 전망치 하향은 JP모건과 HSBC가 크게 영향을 미쳤다. 특히 JP모건이 지난해 11월 1.7%에서 한 달 만에 0.4%p나 내린 1.3%로 전망했다. HSBC가 1.9%에서 1.7%로 0.2%p 낮췄다.

 

해외 투자은행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해외 투자은행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IB 가운데 가장 낮은 전망치를 제시한 JP모건은 이번 보고서에서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한층 더 짙어진 내수 불황을 결정적 변수로 지목했다. JP모건은 한국의 정치상황을 볼 때 불확실성 해소가 지연되고,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한국의 수출 실적이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 박석길 JP모건 본부장은 "한국은 지난해 12월 경제심리지수가 전반적으로 큰 폭 하락했고, 올해 1월 들어서도 의미 있게 상향 반전할 것으로 보기에는 아직 이른 것으로 분석했다"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지난해 11월까지 데이터를 분석해 4분기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고, 올해도 단기간 내에 내수 불확실성이 해소되기는 어려워 보여 올해 1분기 수치까지 낮췄다"고 설명했다.

해외 투자은행들은 한국의 내년 성장률도 평균 1.8% 수준으로 예상했다. 골드만삭스와 JP모건은 2.1%, HSBC 1.9%, 노무라 1.8%, 씨티 1.6%, 바클리 1.5%, UBS는 가장 낮은 1.3%를 각각 제시했다.

 

해외 투자은행 2025년 한국 경제지표 전망. 자료 : 국제금융센터
해외 투자은행 2025년 한국 경제지표 전망. 자료 : 국제금융센터

해외 IB들의 예상대로라면 우리 경제가 2년 연속 1%대의 저조한 성장률을 기록하게 된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53년 이후 처음이다. 외환위기 때는 1998년 -4.9%에서 이듬해 11.6%로 반등했고,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았던 2009년 0.8%에서 이듬해 7.0%로 올랐다. 코로나 팬데믹 당시엔 2020년 -0.7%에서 이듬해 4.6%로 회복되기도 했다.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는 JP모건과 HSBC가 지난해 11월 말 각 1.7%와 1.9%에서 12월 말 나란히 2.0%로 상향 조정했다. 씨티가 2.0%에서 1.9%로 낮추면서 IB 8곳 전체 평균은 1.8%로 유지됐지만, 환율 급등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해졌다는 분석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