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5.1% 이어 정부 물가안정 목표치 2% 넘어
공공요금 큰 폭 인상에 농산물값 오름세도 영향
전기·가스·수도 물가 역대 최대 폭인 20% 올라
12월 물가 3.2% 상승…5개월 연속 3%대 기록
결국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를 넘었다. 정부의 물가 안정 목표치(2%)를 넘는 고물가가 지난해에 이어 2년째 계속됐다.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이 역대 최대로 오른데다 농산물값도 크게 뛰었기 때문이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 지수는 111.59(2020년=100)로 작년보다 3.6% 올랐다. 지난해(5.1%)보다 상승률은 낮았지만 정부의 물가안정 목표치(2%)를 넘어섰다. 2년 연속 물가가 3% 이상 오른 건 2003년(3.5%)∼2004년(3.6%) 이후 처음이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연간 물가상승률이 1%대를 밑돌았다. 2012년 2.2%에서 2015년 0.7%까지 내려왔고 2016∼2018년 연속 1%대를 나타내고 2019년에는 0.4%까지 떨어졌다. 코로나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 0.5%를 기록한 뒤 저금리와 글로벌 경기 회복 등과 맞물려 물가가 치솟기 시작했다. 2021년 2.5% 오른 뒤 작년에는 5.1% 뛰어 외환위기 때인 1998년(7.5%)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작년보다 4.0% 상승했다. 2년 연속 4%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4% 올라 2년째 3%대를 나타냈다.
올해 연간 물가 상승을 주도한 것은 공공요금이다.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전기료와 도시가스 등의 가격 인상으로 20.0% 뛰었다. 관련 항목을 집계한 2010년 이후 최대 상승이다. 전기·가스·수도의 물가상승률 기여도는 0.68%p다. 전체 물가를 0.68%p 올렸다는 의미다.
농·축·수산물도 농산물(6.0%)과 수산물(5.4%)을 중심으로 3.1% 올랐다. 농산물값은 여름에는 폭염, 가을에는 이상저온 등의 영향으로 하반기 들어 계속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10월과 11월(14.7%), 12월(15.7%)에는 석 달 연속 두 자릿수대로 올랐다. 올해 특히 사과(24.2%), 귤(19.1%), 파(18.1%) 등의 상승 폭이 컸다.
외식이 포함되는 개인서비스 물가도 4.8% 올라 물가 기여도가 1.60%p로 나타났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3.9%를 기록했다. 이 지수는 2021년 3.2%, 지난해 6.0% 등 3년 연속 3% 이상을 나타냈다. 신선과실(9.7%) 등이 크게 올라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도 전년보다 6.8% 뛰었다. 2020년(9.0%) 이후 가장 큰 폭이다.
그나마 지난해 20%대로 치솟았던 석유류 가격이 올해 11.1% 떨어진 것은 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12월 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3.2% 올라 전월(3.3%)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농산물 가격이 15.7% 오르면서 농·축·수산물 물가는 7.7% 상승했다. 이달 농산물 물가 상승률은 2021년 4월(17.7%) 이후 가장 높았다. 신선과실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한파 영향으로 일부 신선채소 가격이 오르면서 신선식품지수도 14.5%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3.7% 올라 전월(3.9%)보다 다소 낮아졌다.
올해 들어 월별 물가상승률은 1월 5.0%에서 계속 낮아져 6월(2.7%)과 7월(2.4%)에는 2%대를 나타냈다. 그러나 8월에 3.4%로 올라선 이후 9월 3.7%, 10월 3.8%, 11월 3.3%, 12월 3.2% 등 5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