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이후 일본인들은 어떤 고통 속에 살았나

"원전 사고로 세대간 불화…노인들 이주 거부"

평범했던 두 아이의 싱글맘 '운동가'로 변신도

후쿠시마 원전 핵물질 오염수에는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는 온갖 핵물질이 포함돼 있다. 어떤 물질은 생물학적 유전자 손상까지 가져온다. 백가지 화를 불러올 백화(百禍) 물질이 아닐 수 없다. 오염수 문제에 관한 한 ‘모르는 게 약’일 수 없다. 오염수와 관련된 정보와 지식을 하나하나 짚어본다. 알아야 대처할 힘이 나온다. [편집자주]

 

2018년 5월 3일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에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이타테 마을에서 10년 만에 대제가 열렸다. 신사에서 출발한 미코시(가마)가 유채꽃밭과 방사능으로 오염된 흙이 쌓인 임시 적치장 사이를 지나가고 있다. 일본의 다큐멘터리 사진가 도요다 나오미의 사진이다.
2018년 5월 3일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에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이타테 마을에서 10년 만에 대제가 열렸다. 신사에서 출발한 미코시(가마)가 유채꽃밭과 방사능으로 오염된 흙이 쌓인 임시 적치장 사이를 지나가고 있다. 일본의 다큐멘터리 사진가 도요다 나오미의 사진이다.

2011년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폭발 사고 이후 피해 지역 일본인들은 어떤 고통 속에서 살았을까. 그린피스는 원전사고 3년 뒤인 2014년 3월 사고 초기의 모습을 담은 사진 174점, 영상 39점을 공개한 바 있다. 이 자료들은 오늘도 방사능 관련 사고가 공동체와 개인의 삶을 어떻게 파괴하고 있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그린피스 자료를 통해 몇몇 사연을 소개한다.

 

아내 타츠코 오가와라(왼쪽)와 남편 신. greenpeace.org
아내 타츠코 오가와라(왼쪽)와 남편 신. greenpeace.org

아내 타츠코 오가와라와 남편 신은 26년간 유기농 농업에 열심인 부부였다. 원전사고 나흘 후인 3월 15일, 방사능 감지기의 경보가 울렸다. 체르노빌 사고 당시 방사능이 걱정돼 구입한 가족용 방사능 감지기였다. “지금까지 나는 원자력 에너지에 반대했지만 그것에 대해 많은 일을 하지 않았다.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아주 작은 일이라도 해보기로 결심했다.” 아내의 말이다. 부부는 원전사고 2년 뒤인 2013년 미하루에 공정무역 가게를 열었다. 부부는 지역의 농부들로부터 유기농 쌀과 채소, 계란 등을 공급받아 팔았다. 가게 이름은 에스페란토어로 ‘희망’이란 뜻의 에스페리(Esperi)였다.

 

니시키타는 두 아이를 둔 평범한 싱글맘이었으나 원전사고 이후 운동가로 변신했다. greenpeace.org ​​​​​​​
니시키타는 두 아이를 둔 평범한 싱글맘이었으나 원전사고 이후 운동가로 변신했다. greenpeace.org

니시키타는 두 아이를 둔 싱글맘이었다. 원전사고 발생 4개월 후 후쿠시마를 떠나 요네자와라는 산간 마을로 향했다. 원전사고 이후 그의 삶은 달라졌다. 후쿠시마 아이들의 목소리를 듣는 ‘키즈 보이스’라는 NGO를 출범시켰다. 곳곳을 돌며 자신의 경험담을 얘기했다. ‘방사능으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후쿠시마 네트워크’에서 자원봉사 활동도 했다. 재난 피해자의 상담에도 열심이었다. 원전사고로 평범했던 한 어머니가 운동가로 변신했다.

 

사토 켄토는 원전사고 이후 이주 문제로 마을의 노인들과 갈등이 생겼다고 증언했다. greenpeace.org ​​​​​​​
사토 켄토는 원전사고 이후 이주 문제로 마을의 노인들과 갈등이 생겼다고 증언했다. greenpeace.org

원전사고 발생지 인근 마을에 태어난 사토 켄토는 사고 발생 열흘 뒤부터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일본 정부에 관련 정보를 제공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원전사고로 세대간 불화가 생겼다고 여겼다. 대피를 해야 하는데 마을의 노인들이 거부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사고가 난 직후 마을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떠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연로한 분들이 머물고 싶어 하셔서 갈 수가 없었어요.” 그러나 결국은 모두 고향을 떠나야 했다.

 

농사를 짓던 이케디 사츠키는  고향을 잃었다는 상실감에 망연자실했다. greenpeace.org
농사를 짓던 이케디 사츠키는  고향을 잃었다는 상실감에 망연자실했다. greenpeace.org

9대째 고향 시골마을에서 살던 이케디 사츠키는 아들들과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었다. 원전 사고가 나자 소개(疏開)돼 구호소에 갇혔다. 마을의 다른 사람들도 모두 몇몇 도시로 뿔뿔히 흩어졌다. 그들은 고향을 잃었다는 상실감에 망연자실했다.

 

미나코 수가노는 유치원 교사이자 세 아이의 엄마로 원전사고 이후 아이들의 도시락을 매일 쌌다.  greenpeace.org ​​​​​​​
미나코 수가노는 유치원 교사이자 세 아이의 엄마로 원전사고 이후 아이들의 도시락을 매일 쌌다.  greenpeace.org

미나코 수가노는 유치원 교사이자 세 아이의 엄마였다. 원전 사고로 후쿠시마 시내 중심부에서 북동쪽으로 19km 떨어진 곳으로 이사했다. 엄마는 아이들의 도시락을 매일 준비했다. 학교 급식에는 후쿠시마산 채소가 포함돼 있었기 때문이다. “저는 아이들에게 도시락을 매일 싸줍니다. 엄마로서 아이들을 보호하고 싶어요.”

 

텅 비어있는 하세가와 켄이치의 외양간. greenpeace.org
텅 비어있는 하세가와 켄이치의 외양간. greenpeace.org

후쿠시마현의 한 시골마을에 살던 하세가와 켄이치는 원전사고 전 젖소 50마리를 기르던 농부였다. 그러나 원전사고와 함께 외양간은 텅 비고 말았다. 농부는 후쿠시마 도심에서 15km 떨어진 곳에 있는 작은 임시 주택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