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기자협회 등 법적대응 나설 공대위 추진
지역인터넷신문협회도 "지역언론 말살" 반발
인터넷신문협회도 비상총회 열어 법적대응키로
포털 ‘다음’이 뉴스 검색 결과를 ‘전체 언론사’에서 ‘콘텐츠제휴(CP) 언론사’ 우선 노출 방식으로 변경한 것과 관련해 인터넷 언론사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다수 인터넷 언론사들이 뉴스 포털과 ‘콘텐츠제휴 언론사’가 아닌 ‘검색제휴 언론사’로 계약을 맺고 있어 포털 노출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인터넷 언론사들은 포털 다음의 갑작스런 노출방식 변경에 대해 강력 반발하면서 법적 대응 등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해 나갈 움직임이다.
한국인터넷기자협회는 29일 인터넷 언론사들과 시민단체를 포함한 ‘다음카카오 뉴스검색 공동대응위원회(공대위)’를 결성하기로 했으며, ‘공대위’에 참여 의사를 밝힌 언론사와 단체들이 포털 다음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대위’에 참여의사를 밝힌 언론단체·시민단체는 한국인터넷기자협회, 한국지역인터넷신문협의회, 인터넷언론인연대 등 인터넷 언론사 단체와 개별 인터넷 언론사들, 언론소비자주권행동 등이다.
이 가운데 한국지역인터넷신문협의회(지인협)는 지난 27일 “(다음) 카카오가 운영하는 포털 다음이 최근 뉴스 검색 정책을 일방적으로 기습 변경한 횡포를 ‘풀뿌리 지역언론 말살행위’로 규정하고 강력히 대처해 나갈 것을 천명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지인협은 “일각에선 이번 사태를 두고 윤석열 정부와 이동관 방통위원회가 다음을 앞세워 국민과 언론의 소통을 막고 통제하려는 시도로 평가하고 있다. 다음에 이어 네이버도 머지않아 CP(콘텐츠제휴)사 중심의 뉴스검색 기능 변경을 시도할 것이란 우려의 시각도 있다”면서 “국민의 알권리와 뉴스선택권을 가로막는 다음의 뉴스검색 변경을 하루속히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뜻을 함께하는 전국 언론단체·언론사와 연대하여 바로 잡힐 때까지 법 테두리 내의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끝까지 강력히 대응할 것을 천명한다”고 밝혔다.
앞서 한국인터넷기자협회와 한국인터넷신문협회도 포털 다음의 뉴스검색 서비스창 변경을 규탄하는 성명을 내고 반발하고 있다. 한국인터넷기자협회는 다음의 뉴스검색 변경 직후인 지난 24일 낸 성명에서 “다음의 뉴스검색 기본값을 전체 언론사에서 CP사로 변경한 것은 카카오 사주 구하기, 정권의 입맛 맞추기가 아니냐는 합리적 의구심이 광범위하게 제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한국인터넷신문협회도 같은날 성명을 내고 “총선을 앞둔 민감한 시점에 포털이 이런 조치를 강행한다면 지역의 다양한 여론과 정치 동향, 현안 등을 알리는 지역언론들의 언로를 차단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며, 이는 곧 민주주의 퇴행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한국인터넷기자협회와 한국지역인터넷신문협의회는 30일 판교 카카오아지트에서 이에 항의하는 1인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한국인터넷신문협회도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비상총회를 열고 회원사의 의견을 수렴한 뒤 뉴스검색 개편 정지 가처분소송, 공정거래위 불공정거래행위 제소 등 법적 대응에 들어갈 방침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