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AI와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

대체 가능성 상위 20% 일자리 341만 개

기관사, 공학기술자, 회계사, 변호사 등 포함

AI확산 방치하면 기업 살찌고 임금 낮출 수도

빅데이터 악용 땐 가격폭리·민주주의 저해

인공지능(AI) 활용이 전 산업 분야로 확산하면서 노동시장에 큰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과거 로봇과 소프트웨어는 저학력·저임금 노동을 대체했으나 AI는 높은 임금을 받는 고학력자 일자리를 위협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이런 내용의 ‘AI와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를 16일 공개했다.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구직자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구직자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보고서는 먼저 업무의 직무내용 설명서와 AI 관련 특허 제목의 중복 등 여러 자료를 바탕으로 직업별 AI 노출 지수를 구했다. 특정 업무가 AI 기술에 의해 얼마나 대체 가능한지를 측정하기 위해서다. 노출 지수가 높을수록 AI로 대체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측정 결과 노출 지수 상위 20%에 속해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큰 국내 일자리는 전체 취업자의 12%인 341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AI 노출 지수를 상위 25%로 확대하면 대체 가능 일자리는 약 398만 개로 늘어난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컸다. AI가 할 수 없는 대면 서비스업에 여성이 상대적으로 많이 종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AI 노출 지수가 높은 직업에는 화학공학 기술자와 발전장치 조작원, 철도와 전동차 기관사, 상하수도 처리 장치 조작원, 재활용 처리 장치 조작원, 금속 재료공학 기술자가 꼽혔다. 의사와 회계사, 변호사 등 고소득 전문직도 대체 가능성이 높았다. 이런 일자리는 대용량 데이터를 활용해 업무를 효율화하기에 적합하다. 예컨대 화학공학 기술자는 생산 공정 설계와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런 업무는 AI 알고리즘이 기술자를 대신해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AI 노출 지수가 낮은 직업은 음식 관련 단순 종사자, 대학교수와 강사, 상품 대여 종사자, 종교 관련 종사자, 식음료 서비스 종사자, 운송 서비스 종사자 등이 포함됐다. AI 알고리즘으로 해결할 수 없는 대면 접촉과 인간관계 형성이 중요한 직업들이다.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한국은행

보고서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대목은 규제 없이 AI의 확산을 방치하면 나타날 임금 불평등과 양극화에 대한 경고다. AI를 활용한 자동화는 기업의 이윤을 높이고 임금 근로자의 소득을 낮출 가능성이 크다. AI 기술이 노동자 이익을 기업 이익으로 이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또 AI가 빠르게 확산하면 소비자 불이익과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AI 기술은 빅데이터와 강화된 연산 능력으로 소비자 패턴을 더욱 쉽게 찾아낼 수 있는데 이를 악용하면 가격차별 등 소비자 후생을 저해할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특정 기업에 너무 많은 데이터가 집중되며 소비자에게 돌아갈 몫이 줄고 사생활을 침해할 위험도 커질 수 있다. 

AI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경고도 제기됐다. AI를 활용한 자동화는 노동에서 자본으로 권력을 이동시키고 AI가 편향된 데이터를 학습하면 시민들의 민주적 결정을 방해하는 정보를 퍼뜨릴 수 있다.

 

 자료 : 한국은행

보고서는 AI로 경제적 이익을 얻는 동시에 사회적 부작용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 규제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AI가 대규모로 구현되기 시작하면 돌이킬 수 없기 때문에 사전 규제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오삼일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장은 “기술 허브를 독점한 소수 기업만 이익을 보는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선 다양한 경제 주체들이 AI 발전으로 수혜를 입을 수 있도록 철저한 규제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