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0.25%p 추가 인상…최고 연 5.50%

한국 다음 달 금통위서 금리 인상 여부 촉각

환율상승‧자금유출 우려 등 인상 필요성 산재

경기회복 지연에 부동산 PF발 위기설도 부담

정부 "주요 리스크 모니터링 강화" 원론 대응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준 청사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3.07.27. [EPA=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이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준 청사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3.07.27. [EPA=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26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0.25%p 인상했다. 이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2%p까지 벌어져, 역대 최대 기록을 다시 고쳐 썼다.

연준은 전달 FOMC에서 금리를 동결, 지난해 3월부터 15개월간 이어진 공격적 인상을 멈췄으나 이날 다시 금리 인상을 결정했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기존 5.00~5.25%에서 지난 2001년 이후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5.25~5.50%로 상향됐다.

한미 기준금리 추이
한미 기준금리 추이

연준은 성명에서 "최근 지표에 따르면 경제 활동은 완만한 속도로 확장하고 있다"며 "최근 몇 달간 일자리 증가세가 견고하고 실업률 또한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물가 상승 수준은 여전히 높다"고 밝혔다.

성명은 이어 "추가적인 정책 강도를 결정함에 있어 누적 긴축 및 통화 정책이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시차 등을 고려할 것"이라며 물가 상승률 목표치인 2% 달성을 재확인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어진 회견에서 "데이터가 뒷받침된다면 기준금리를 9월 회의에서 다시 올리는 것도 틀림없이 가능한 일"이라면서도 "기준금리 유지를 선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며 추가 인상과 동결 가능성을 동시에 열어놨다.

한국(기준금리 3.50%)과 미국의 기준금리 금리 차이는 최대 2.00%p까지 벌어졌다.

2%p로 벌어진 한미 기준금리 차이는 과거 한 번도 경험한 적이 없는 수준으로,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에 대한 통화 당국의 대처가 주목된다.

 

한미 기준금리 역전기
한미 기준금리 역전기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3.50%에서 묶여 있는 동안에 최근 가계대출까지 다시 빠르게 늘면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달 24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금리 추가 인상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하반기 경기 회복이 불투명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금융 위기 가능성까지 남아있어 쉽게 금리를 올릴 수도 없는 난감한 상황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모두발언에서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에 대해 "시장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며 "미국 등 주요국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존하므로 각별한 경계감을 갖고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과 김주현 금융위원장이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 회의에 참석했다. 2023.7.27. 연합뉴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과 김주현 금융위원장이이 27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 회의에 참석했다. 2023.7.27. 연합뉴스

추 부총리는 "우리 금융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된 모습"이라며 "불확실성이 다소 확대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도 있지만, 자본 유출입과 환율 변동의 경우 내외 금리 차뿐만 아니라 국내 경제·금융 상황, 글로벌 경제·금융 여건 등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라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이어 "대내외 경제·금융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정부는 한은과 긴밀한 공조를 통해 주요 리스크 요인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겠다"며 "필요시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시장안정 조치를 신속히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