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코스피 11.5%, 코스닥 20.5%

한계기업 비중 2017년만 빼고 매년 상승

당해연도만 따진 일시 한계기업은 30.8%

[김민아 제작] 일러스트
[김민아 제작] 일러스트

국내 상장사 5개 가운데 1개 가까이가 한계기업으로 조사됐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이자비용이 영업이익보다 큰 기업을 일컫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2일 코스피·코스닥 상장사를 분석한 결과, 작년 말 기준으로 국내 상장사 중 17.5%가 한계기업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상장사 가운데 한계기업의 비중은 2016년 9.3%에서 2017년 9.2%로 다소 낮아졌으나, 2018년 11.2%, 2019년 13.7%, 2020년 15.2%, 2021년 16.5% 등으로 매년 상승했다.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사의 한계기업 비율은 지난 2016년에는 9.3%로 같았으나 2022년에는 코스피 상장사가 11.5%로 소폭 오른 반면, 코스닥은 20.5%까지 큰 폭으로 높아졌다. 이는 코로나19와 고금리라는 외부 충격에 코스닥 기업이 더 취약했기 때문으로 전경련은 분석했다.

지난해 전체 상장사의 30.8%는 당해연도 영업이익이 이자 비용보다 적은 일시적 한계기업이었다.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은 2018년까지는 20%대였으나 2019년 30%대에 진입한 뒤 코로나 발생 첫해인 2020년 34.6%로 최고점을 찍었고, 2021년(30.7%) 이후에는 다시 안정을 찾는 추세다.

업종별로는 지난해 기준으로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의 한계기업 비율이 30.4%로 가장 높았다.

이어 운수 및 창고업(25.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5.0%), 도매 및 소매업(23.2%), 정보통신업(16.8%), 제조업(16.4%), 건설업(15.5%), 금융 및 보험업(3.5%) 등 순이었다.

전경련은 주요 5개국(미국·독일·일본·영국·프랑스)에 중국·한국을 더한 7개국 상황을 조사한 결과, 2021년 기준 미국(20.9%), 프랑스(19.2%), 한국(16.5%) 순으로 한계기업 비율이 높았다고 밝혔다.

 

[출처 : 전국경제인연합회]
[출처 : 전국경제인연합회]

2016년부터 2021년까지 한계기업 비율 상승 폭은 미국이 8.9%에서 20.9%로 12.0%p 올라 가장 가파른 양상을 보였고, 한국이 9.3%에서 16.5%로 7.2%포인트 상승해 뒤를 이었다.

2022년 데이터가 존재하는 한국·미국·일본 3개국을 비교하면 일시적 한계기업 비율은 한국이 30.8%로 미국(28.2%), 일본(11.4%)보다 높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20년부터 확산한 코로나19, 급격한 금리 인상, 최근의 경기 악화 등이 한계기업 증가 요인으로 분석된다"며 "안정적 금융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