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코스피 11.5%, 코스닥 20.5%
한계기업 비중 2017년만 빼고 매년 상승
당해연도만 따진 일시 한계기업은 30.8%
국내 상장사 5개 가운데 1개 가까이가 한계기업으로 조사됐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이자비용이 영업이익보다 큰 기업을 일컫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2일 코스피·코스닥 상장사를 분석한 결과, 작년 말 기준으로 국내 상장사 중 17.5%가 한계기업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상장사 가운데 한계기업의 비중은 2016년 9.3%에서 2017년 9.2%로 다소 낮아졌으나, 2018년 11.2%, 2019년 13.7%, 2020년 15.2%, 2021년 16.5% 등으로 매년 상승했다.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사의 한계기업 비율은 지난 2016년에는 9.3%로 같았으나 2022년에는 코스피 상장사가 11.5%로 소폭 오른 반면, 코스닥은 20.5%까지 큰 폭으로 높아졌다. 이는 코로나19와 고금리라는 외부 충격에 코스닥 기업이 더 취약했기 때문으로 전경련은 분석했다.
지난해 전체 상장사의 30.8%는 당해연도 영업이익이 이자 비용보다 적은 일시적 한계기업이었다.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은 2018년까지는 20%대였으나 2019년 30%대에 진입한 뒤 코로나 발생 첫해인 2020년 34.6%로 최고점을 찍었고, 2021년(30.7%) 이후에는 다시 안정을 찾는 추세다.
업종별로는 지난해 기준으로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의 한계기업 비율이 30.4%로 가장 높았다.
이어 운수 및 창고업(25.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5.0%), 도매 및 소매업(23.2%), 정보통신업(16.8%), 제조업(16.4%), 건설업(15.5%), 금융 및 보험업(3.5%) 등 순이었다.
전경련은 주요 5개국(미국·독일·일본·영국·프랑스)에 중국·한국을 더한 7개국 상황을 조사한 결과, 2021년 기준 미국(20.9%), 프랑스(19.2%), 한국(16.5%) 순으로 한계기업 비율이 높았다고 밝혔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한계기업 비율 상승 폭은 미국이 8.9%에서 20.9%로 12.0%p 올라 가장 가파른 양상을 보였고, 한국이 9.3%에서 16.5%로 7.2%포인트 상승해 뒤를 이었다.
2022년 데이터가 존재하는 한국·미국·일본 3개국을 비교하면 일시적 한계기업 비율은 한국이 30.8%로 미국(28.2%), 일본(11.4%)보다 높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20년부터 확산한 코로나19, 급격한 금리 인상, 최근의 경기 악화 등이 한계기업 증가 요인으로 분석된다"며 "안정적 금융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