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상수도 물가지수 1년 전보다 4.6% 올라
올들어 서울시 가정용 ㎥당 580원으로 20.8%↑
생수도 7.1% 올라…11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
물 값이 예전 같지 않다.
지난달 수도요금은 17년 만에, 생수 가격도 11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상수도료 물가 지수는 109.50(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4.6% 상승했다. 지난 2006년 1월(6.1%) 이후 17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이 생산 단가가 올랐다는 이유로 상수도 요금을 올렸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지난 1월부터 가정용 상수도 요금을 1㎥당 480원에서 580원으로 20.8% 인상했다. 욕탕용은 440원에서 500원으로 13.6%, 그 외 일반용은 1150원에서 1270원으로 10.4% 올렸다.
대구시는 지난 1월 납기분부터 가정용 상수도 요금을 1㎥당 580원에서 630원으로 8.6% 올렸다.
지난 1월 경기도 성남시도 약 18% 인상하는 등 지자체발 물가 상승 요인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공공요금 인상에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1년 전 대비 28.4% 상승해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달엔 전기·가스요금이 동결됐지만, 수도 요금 인상의 영향으로 지난 1월(28.3%)보다 상승률이 높았다.
지난달 가공식품 중 생수의 물가 지수는 109.24로 한 달 새 7.1% 올랐다. 이는 2011년 7월(9.5%) 이후 11년 7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페트병 등의 재료 가격 인상과 인건비 상승으로 생수 출고가가 올랐기 때문이다.
제주도개발공사는 제주삼다수의 출고가를 지난달 평균 9.8% 인상하며 5년 만에 가격을 조정했다. 제주삼다수는 국내 생수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