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꽃] 4050 90% 이상, 보수층도 66.7%

정당 지지도 양당 간 격차 4%p 차 더 벌어져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탄핵 결정을 빨리 해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점으로 치솟고 있다. ‘여론조사꽃’이 3월 28일~29일 이틀간 전국 18세 이상 남녀 유권자 1001명 대상으로 윤석열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 시점과 관련해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248 중도 442 보수 247, 기타 자세한 사항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응답자의 81.0%가 ‘빨리 선고해야 한다’고 답했다. ‘늦어져도 상관없다’는 응답은 18.0%에 그쳤다. ‘빨리 선고’ 응답이 ‘상관없음’보다 63.0%p 앞선 것이다. ‘빨리 선고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난주(77.6%) 보다 3.5%p 올라 80%선을 넘은 것이다.

 

무당층 69.6%, 국힘 지지층도 53.3%가 ‘조속 결정’

권역별로 살펴보면, 호남권(93.9%)권은 물론 충청권(84.4%), 대구·경북(83.3%), 경인권(81.9%), 서울(80.7%)도 10명 중 8명 이상이 조속한 선고를 요구했다. 연령별로도, 모든 세대에서 ‘빨리 선고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특히 40대(90.5%) 50대(90.1%)는 10명 중 9명 이상이 빠른 결정을 요구했다.

정당 지지층 별로는, 더불어민주당의 99.2%가 ‘빠른 선고’를 원한다고 압도적으로 응답했고, 국민의힘 지지층도 ‘빠른 선고’(53.3%)가 ‘늦어져도 상관없다’(45.5%)를 7.8%p 앞섰다. 무당층 역시 ‘빠른 선고’(69.6%)라는 응답이 ‘상관없음’(24.7%) 응답 보다 44.9%p 높았다.

이념 성향별로도 진보층(97.3%)과 중도층(81.2%)에서는 ‘빠른 선고’를 원한다고 응답했으며, 보수층에서도 ‘빠른 선고’(66.7%)가 ‘늦어져도 상관없다’(32.3%)보다 34.4%p 높게 나타나, 이념을 불문하고 ‘조속한 탄핵심판 선고’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탄핵해야 한다’ 지난주와 같은 66.7%

윤석열 탄핵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6.7%가 ‘탄핵해야 한다’고 답했다. ‘탄핵해서는 안된다’는 31.0%로 탄핵 찬성 의견이 35.7%p 높았다.

 

권역별로는 호남권(87.0%) 서울(64.5%), 경인권(72.1%), 충청권(67.8%) 외에도 대구·경북에서도 ‘탄핵 찬성’(52.1%)이 ‘탄핵 반대’(46.8%)보다 5.3%p 높게 나타나, 전국 모든 권역에서 탄핵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하 모든 연령대에서 ‘탄핵 찬성’ 의견이 앞서거나 우세했다. 특히 40대(87.0%)와 50대(80.8%)는 10명 중 8명이 탄핵에 찬성해 뚜렷한 지지세를 보였고, 70세 이상에서는 ‘탄핵 반대’ 응답이 다수(34.8% 대 61.6%)를 차지해 세대 간 인식 차이가 드러났다. 남녀 모두 ‘탄핵 찬성’ 응답이 우세했지만, 연령대별 성별 분석에서는 18~29세에서 뚜렷한 성별 격차가 나타났다.

18~29세 남성의 경우, ‘탄핵 찬성’과 ‘탄핵 반대’ 응답이 팽팽하게 맞서며 다른 연령대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고, 60대 이하 전체 연령층 가운데 유일하게 찬반 비율이 비슷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나이대의 여성은 ‘탄핵 찬성’이 83.6%에 달해 압도적인 지지를 보이며 남성과 극명한 대비를 보였다. 이는 동일 연령대 내에서도 성별에 따라 정치적 인식이 크게 엇갈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극명한 대립 구도가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8.8%가 ‘탄핵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88.5%가 ‘탄핵해서는 안된다’고 답해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무당층에서도 ‘탄핵 찬성’응답이 61.8%로, ‘탄핵 반대’(26.4%)보다 35.4%p 높아 탄핵에 대한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도 진보층의 91.9%, 중도층의 71.2%가 탄핵에 찬성했고, 보수층에서는 ‘탄핵 반대’( 64.0%)가 ‘탄핵 찬성’(33.4%)보다 30.6%p 높게 나타나 이념에 따라 뚜렷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국민 10명 중 6명 ‘윤 복귀시 계엄령 재선포’, 47.0%는 “매우 우려”

윤석열이 탄핵 심판에서 기각 판결을 받아 대통령직에 복귀했을 경우, 계엄령을 다시 선포할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 조사에서 응답자의 63.8%가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가능성이 없다’는 응답은 34.0%로 집계돼 응답자 10명 중 6명 이상이 윤석열이 대통령직에 복귀 시 계엄령이 재선포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격차:29.8%p). 특히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응답이 절반에 가까운 47.0%를 기록하며, 계엄령 재선포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계엄령 재선포 가능성을 가장 낮게 본 대구·경북에서도 ‘가능성이 있다’(51.3%)가 ‘없다’(46.6%)보다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84.8%)와 50대(75.6%)에서 우려가 가장 강했고 30대(64.7%)에서도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60대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으나 다소 ‘있다’ 쪽으로 기울었고 70세 이상에서는 ‘계엄령 가능성이 없다’는 응답이 소폭 우세해 세대간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2.1%가 ‘윤석열이 대통령직에 복귀하면 계엄령을 재선포할 가능성이 높다’고 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80.0%는 ‘계엄령 재선포 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해 극명하게 대비됐다. 무당층에서는 ‘가능성이 있다’(50.0%)가 ‘없다’(43.9%)를 6.1%p 차이로 앞섰다. 이념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의 91.5%, 중도층의 63.7%가 계엄령 재선포 가능성에 우려를 표명했으며, 보수층에서는 ‘계엄령 가능성이 없다’(60.5%)가 ‘있다’(37.5%)보다 23.0%p 높아 이념 성향에 따른 인식 차이도 두드러졌다.

‘정권 교체’가 ‘정권 연장’보다 두 배 이상 높은 65.9%

차기 대선과 관련, 응답자의 65.9%가 ‘정권을 교체해야 한다’고 답한 반면, ‘정권을 연장해야 한다’는 응답은 31.3%로, ‘정권 교체’ 의견이 두 배 이상(34.6%p) 높았다.

 

권역별로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정권 교체’ 의견이 앞서거나 우세했다. 특히 호남권에서는 86.9%가 ‘정권 교체’를 원한다고 응답했고, 서울(63.5%), 경인권(71.7%), 충청권(66.9%), 부·울·경(54.4%), 강원·제주(58.2%)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도 절반 이상이 교체를 원했다. 대구·경북에서는 ‘정권 교체’ 49.8% 대 ‘정권 연장’ 46.3%로 팽팽한 접전 속에 ‘정권 교체’ 의견이 소폭 앞섰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하 전 연령층에서 ‘정권 교체’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40대(85.7%)와 50대(80.3%)에서는 10명 중 8명이 ‘정권교체’를 지지했다. 반면, 70세 이상에서는 ‘정권 연장’(59.7%) 응답이 ‘정권 교체’(36.4%)보다 23.3%p 높게 나타나, 뚜렷한 세대 차이를 보였다. 성별로도 남성과 여성 모두 ‘정권 교체’ 의견이 우세했으나, 유일하게 18~29세 남성은 ‘정권 연장’(53.6%) 응답이 ‘정권 교체’(42.7%) 보다 높아 60대 이하의 모든 세대 및 성별과 확연히 다른 흐름을 보였다. 이는 같은 연령대 여성의 ‘정권 교체’ 응답률이 81.2%에 달한 것과도 극명하게 대비된다.

정당 지지층 별로도 입장 차이는 뚜렷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98.5%가 ‘정권 교체’를 지지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91.2%는 ‘정권 연장’을 선택했다. 무당층에서는 ‘정권 교체’ 응답이 61.4%, ‘정권 연장’은 23.2%로 ‘정권 교체’ 의견이 38.2%p 앞섰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93.2%), 중도층(70.3%)에서 ‘정권 교체’ 의견이 다수였고, 보수층에서는 ‘정권 연장’ 응답이 65.0%로 우세해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민주 계열 후보 합계 49.4%, 국힘 후보 계열(26.9%)보다 22.5%p 높아

차기 대통령 선거에서 가장 적합한 대권 주자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6.4%의 지지를 얻었고 2위는 9.7%를 기록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으로, 이들 간 격차는 무려 36.7%p에 달했다. 3위는 ‘오세훈 서울시장’(4.9%), 4위는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4.7%), 5위는 ‘홍준표 대구시장’(4.6%) 순이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1.7%), ‘우원식 국회의장’(1.6%), ‘김동연 경기도지사’(1.4%),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1.3%)이 뒤를 이었다. ‘그 외 다른 인물’은 0.9%, ‘적합한 인물 없음’은 19.8%로 나타났다.

 

민주계열과 국힘계열을 종합해 살펴보면 민주 계열의 대권주자인 ‘이재명’, ‘김동연’, ‘우원식’의 합산 지지율은 49.4%로 국힘 계열의 ‘김문수’, ‘오세훈’, ‘홍준표’, ‘한동훈’, ‘안철수’, ‘이준석’의 합산 지지율(26.9%)보다 22.5%p 높았다.

대구·경북을 포함한 모든 지역에서 ‘이재명’이 큰 격차로 1위를 기록했고, 연령대별로 보면, 18~29세의 경우 ‘적합한 인물 없음’(43.3%)이 가장 높았고, ‘이재명’(19.7%), ‘홍준표’(9.2%) 순으로 나타났다. 30대 이상 60대 이하에서는 ‘이재명’이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으며, 70세 이상에서는 ‘이재명’(25.6%)과 ‘김문수’(23.2%)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였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84.3%가 압도적인 비율로 ‘이재명’을 지지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김문수’(29.6%), 오세훈(14.1%), 한동훈(13.4%), 홍준표(11.1%) 순으로 분산된 양상을 보였다. 무당층은 ‘적합한 인물 없음’(56.9%)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이재명(8.2%), 홍준표(6.4%), 한동훈(3.7%) 순이었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에서는 79.2%가 ‘이재명’을 지지하며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고, 보수층에서는 20.9%를 얻은 ‘김문수’가 1위, 17.3%를 얻은 ‘이재명’이 2위를 차지했다. 중도층에서는 ‘이재명’(47.2%)이 ‘김문수’(9.5%)와 ‘홍준표’(4.8%)를 큰 격차로 앞섰다.

정당 지지도: 더불어민주당’(50.7%)과 ‘국민의힘’(30.5%) 격차 20.2%p로 더 벌어져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은 지난 조사 대비 2.9%p 상승한 50.7%로 집계됐다. 반면, ‘국민의힘’은 1.1%p 하락한 30.5%, ‘조국혁신당’은 1.2%p 하락한 4.3%를 기록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간 격차는 20.2%p로 확대됐으며,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합산 지지율(55.0%)은 ‘국민의힘’(30.5%)보다 24.5%p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더불어민주당’은 서울에서 10.8%p 하락했으나, 부·울·경(13.0%p↑), 대구·경북(9.2%p↑), 충청권(7.9%p↑), 경인권(6.2%p↑)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국민의힘’은 서울에서 3.6%p 상승했으나 경인권과 대구·경북에서는 각각 3.7%p씩 하락했다. 지역별 강세 정당으로는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대구·경북에서는 ‘국민의힘’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더불어민주당’이 40대에서 11.5%p 상승하며 큰 폭의 지지를 얻었고, ‘국민의힘’은 18~29세(6.2%p↑)와 30대(4.7%p↑)에서는 상승했으나 40대(6.0%p↓), 50대(4.9%p↓), 60대(4.7%p↓)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40대 남성의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16.0%p 상승한 73.2%로, 전 연령·성별을 통틀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과 중도층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보수층에서는 ‘국민의힘’이 강세를 보였다. 다만 보수층 내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3.4%p 상승하고 국민의힘은 3.2%p 하락했다. 중도층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0.8%p 상승한 53.1%, ‘국민의힘’은 0.1%p 상승한 24.4%를 기록해 양당 간 격차는 28.7%p로 벌어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