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꽃] ‘늦어져도 상관없다’ 20.9% 불과

'탄핵해야 한다' 지난주보다 5.5%p 늘어나 66.7%

'대통령직 복귀 때 계엄령 재선포 가능성' 63.5%

‘여론조사꽃’이 3월 21일~22일 이틀간 전국 18세 이상 남녀 유권자 1008명 대상으로 윤석열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 시점과 관련해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234 중도 432 보수 252, 기타 자세한 사항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압도적인 77.6%가 ‘빨리 선고해야 한다’고 답했다. ‘늦어져도 상관없다’는 응답은 20.9%에 그쳤다. ‘빨리 선고’ 응답이 ‘상관없음’보다 56.7%p 더 높아, 전체 응답자 4명 중 3명이 조속한 선고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층도 피로감, ‘빨리 선고’(55.7%) 응답이 12.1%p 높아

권역별로 살펴보면 호남권 93.8%를 비롯, 서울(84.3%), 충청권(81.3%)도 10명 중 8명 이상이 빨리 선고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대구·경북(59.4%) 부·울·경(67.1%)도 ‘빨리 선고해야 한다’는 의견이 크게 높았다. 연령별로도, 모든 세대에서 ‘빨리 선고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특히 30대부터 50대까지 10명 중 8명 이상이 빠른 결정을 요구했다.

정당 지지 성향에 따라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더불어민주당의 98.6%가 ‘빠른 선고’를 원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늦어져도 상관없다’(53.2%)는 응답이 ‘빠른 선고’(44.3%)보다 8.9%p 앞서 전체 흐름과 달랐다. 무당층도 ‘빠른 선고’(71.3%)라는 응답이 ‘상관없음’(22.6%)응답보다 48.7%p 높아 조속한 결정을 원하는 목소리가 크게 나타났다.

이념 성향별로도 진보층(97.0%)과 중도층(81.5%)에서는 ‘빠른 선고’를 원한다고 응답했으며, 보수층에서도 ‘빨리 선고’(55.7%) 응답이 ‘늦어져도 상관없다’(43.6%)보다 12.1%p 높아 전반적으로 조속한 결정에 대한 요구가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탄핵해야 한다 66.7%, 지난주 보다 5.5%p 높아져

윤석열 탄핵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6.7%가 ‘탄핵해야 한다’고 답했다. ‘탄핵해서는 안 된다’는 31.0%로 탄핵 찬성 의견이 35.7%p 더 높았다. 지난주 조사(탄핵 찬성 61.2% 반대 36.3%)보다 각각 5.5%p, 5.3%p 오르고 내린 것이다.

 

호남권에서 88.3%가 탄핵에 찬성한 반면, 대구·경북에서는 ‘탄핵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54.9%로 ‘탄핵찬성’(38.7%) 의견보다 16.2%p 높게 나타나, 유일하게 ‘탄핵 반대’ 의견이 우세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도 40대(79.9%)와 50대(78.5%)는 10명 중 8명꼴로 탄핵에 찬성했다. 반면, 70세 이상에서는 ‘탄핵해서는 안 된다’는 응답이 우세(40.3% 대 58.4%)해 세대 간 차이가 뚜렷했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극명한 대립 구도가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8.7%가 ‘탄핵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89.6%가 ‘탄핵해서는 안 된다’고 답해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무당층에서도 ‘탄핵 찬성’ 응답이 75.3%로, ‘탄핵 반대’(13.3%)보다 62.0%p 높아 탄핵에 대한 지지가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도 진보층(93.1%)과 중도층(74.3%)에서 ‘탄핵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보수층에서는 ‘탄핵해서는 안 된다’는 응답이 68.7%로 ‘탄핵 찬성’(30.8%)을 37.9%p 앞서 확연히 다른 경향을 보였다.

정권 교체’ ‘정권 연장’ 여론 격차도 더 커져 27.7%p→36.2%p

 

차기 대선의 의미가 “정권 연장이냐, 교체냐” 묻는 질문에서는 ‘정권 교체’ 여론이 탄핵 찬성 여론보다 0.5% 높았다. 응답자의 67.2%가 ‘정권을 교체해야 한다’고 답한 반면, ‘정권을 연장해야 한다’는 응답은 31.0%로 나타나, ‘정권 교체’ 의견이 36.2%p 더 높았다. 이는 응답자 3명 중 2명이 차기 대선에서 ‘정권 교체’가 이뤄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주 조사에서는 62.3%가 ‘정권 교체’가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반면, ‘정권 연장’이라는 응답은 34.6%로 나타났었다.

‘정권 연장’ 50.8%, ‘정권 교체’ 44.9%로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 양상을 보인 대구·경북을 제외한 호남권(88.6%), 서울(71.5%), 경인권(69.9%), 충청권(66.2%), 부·울·경(57.2%), 강원·제주(66.7%)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도 절반 이상이 교체를 원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77.4%), 40대(79.5%), 50대(79.1%)에서 정권 교체에 대한 공감이 가장 강했다. 반면, 70세 이상에서는 ‘정권 연장’(56.1%) 응답이 ‘정권 교체’(43.2%)보다 12.9%p 높았다. 남성과 여성 모두 ‘정권 교체’ 의견이 더 높았다. 무당층에서는 ‘정권 교체’ 응답이 74.9%로 ‘정권 연장’(17.5%)보다 57.4%p 앞섰고, 중도층(73.2%)에서도 ‘정권 교체’ 의견이 우세했다.

정당지지도에서도 민주당 우세 속 양당 격차 더 벌어져

 

정당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지난 조사 대비 3.1%p 상승한 47.8%로 나타났다. 반면, ‘국민의힘’은 2.8%p 하락한 31.6%, ‘조국혁신당’은 0.1%p 상승한 5.5%로 조사됐다. 양당 간 격차는 16.2%p로 확대됐으며,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합산 지지율(53.3%)은 ‘국민의힘’(31.6%)보다 21.7%p 높았다.

지역별 강세 정당으로는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대구·경북에서는 ‘국민의힘’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주까지 ‘국민의힘’이 우위를 점했던 60대에서는 양당이 비슷한 지지율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하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앞서거나 우세한 반면, 70세 이상에서는 ‘국민의힘’이 강세를 보였다. 연령대별 성별 분석에서는 50·60 남성층의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각각 17.9%p 상승했고 같은 연령대의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중도층에서 ‘더불어민주당’이 1.7%p 상승한 52.3%를 기록했으며, ‘국민의힘’은 1.2%p 오른 24.3%를 기록해 양당 간 격차는 28.0%p로 벌어졌다.

민주당 지지층, 진보층, 윤석열 복귀시 재계엄 트라우마 극심

 

윤석열이 탄핵 심판에서 기각 판결을 받아 대통령직에 복귀했을 경우, 계엄령 다시 선포될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 전화면접조사에서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이 63.5%, ‘가능성이 없다’는 응답(33.7%)보다 29.8%p 높아, 응답자 10명 중 6명 이상이 윤석열이 대통령직에 복귀 시 계엄령이 재선포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응답이 44.7%에 달했다. 지난주 조사에서는 ‘가능성이 있다’(56.4%)는 응답과 ‘가능성이 없다’(41.0%) 간 격차가 15.4%p로 나타났었다. 계엄 트라우마가 점점 더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호남권(79.9%), 서울(68.9%), 충청권(67.4%), 40대(77.0%, 50대(76.5%), 30대(69.3%), 더불어민주당 지지층(93.2%), 진보층(90.1%), 중도층(67.8%)의 우려가 특히 컸다. 대구·경북에서도 ‘가능성이 없다’(54.9%)가 ‘있다’(42.9%) 보다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