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꽃’ ARS 조사, ‘민주당 후보 찍겠다’는 52.4%

전화면접방식에서는 ‘정권 교체’ 62.3% ‘연장’ 34.6%

윤 구속취소·심우정 즉시항고 포기 ‘부적절’ 6대 4로 많아

탄핵 여부도 '찬성' 61.2% 대 '반대' 36.3%로 나타나

거의 모든 조사 항목 ‘18~29세 남자’와 ‘70세 이상’ 동조

진보층 계엄 트라우마 심각 ‘재선포 가능성 있다’ 86.6%

‘여론조사꽃’이 일반 여론조사의 무려 15배 규모인 1만 5050명을 대상으로 대대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정권 교체’ 여론이 압도적이었으며,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찍겠다는 여론이 과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꽃’이 3월 9일부터 3월 13일까지 닷새 동안 전국 18세 이상 남녀 유권자 1만 5050명에게 차기 대통령 선거와 관련해 (ARS방식으로) ‘정권을 연장해야 하는지, 교체해야 하는지’ 물은 결과(표본오차 ±0.8%p, 95% 신뢰수준, 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3686 중도 6164 보수 4208, 기타 자세한 사항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응답자의 57.8%가 ‘정권 교체’라고 답했으며, ‘정권 연장’이라는 응답은 37.0%로 조사됐다. ‘정권 교체’를 원하는 응답자가 ‘정권 연장’보다 20.8%p 높았고, 응답자 10명 중 5명 이상이 차기 대선을 ‘정권 교체’의 기회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로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정권 교체’ 의견이 우세했다. 특히 호남권(76.4%)에서 ‘정권 교체’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경인권을 비롯한 대부분의 지역에서도 ‘정권 교체’ 의견이 절반을 넘겼다(경인권:60.3%, 강원·제주 58.0%, 충청권 56.3%, 서울 56.0% 등). 반면, 정권 연장으로 보는 시각이 더 높은 대구·경북은 ‘정권 연장’(49.4%)이 ‘정권 교체’보(43.4%)다 6.0%p 소폭 높아 다른 권역과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하에서는 ‘정권 교체’ 의견이 더 많았으며, 특히 40대(72.0%)에서 교체 요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70세 이상에서는 ‘정권 연장’(52.3%)이 ‘정권 교체’ (40.1%)보다 높아 연령대별 차이가 뚜렷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정권 교체’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18~29세 남성은 ‘정권 연장’(51.2%)이 우세한 반면, 같은 연령대 여성층에서는 ‘정권 교체’(69.7%)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여론조사꽃’이 3월 14일~15일 이틀간 전국 전국 18세 이상 남녀 유권자 101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방식으로) 같은 질문을 한 결과(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응답자 이념성향: 진보 190 중도 466 보수 275, 기타 자세한 사항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응답자의 62.3%가 ‘정권 교체’가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반면, ‘정권 연장’이라는 응답은 34.6%로 나타나, ‘정권 교체’를 원하는 응답자가 27.7%p 높았다. ARS방식 조사 보다 ‘정권 교체’ 여론이 4.2%p 높았다.

차기 대선 투표 의향 97.0%, 유례없이 높아

1만 5050명 대산 ARS방식 조사 결과 ‘차기 대통령 선거에 투표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97.0%로 나타났다. 반면, ‘투표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은 2.3%에 그쳤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호남권에서 투표 의향이 가장 높게 나타나 98.1%가 투표하겠다고 응답했다. 수도권, 충청권, 강원·제주 등 대부분 지역에서도 96% 이상이 투표 의사를 밝혔으며, 투표 의향이 가장 낮은 대구·경북에서도 95.2%가 투표하겠다고 응답해 전국적으로 높은 투표 열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령별로는 모든 세대에서 투표 의향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40대와 50대에서는 98%가량이 투표에 참여할 의향을 밝혔으며 그 외 연령대에서도 95% 이상이 투표하겠다고 응답했다. 성별로도 큰 차이가 없었다. 남녀 모두 10명 중 9명 이상이 차기 대선에서 투표할 의향이 있다고 답해, 전반적으로 높은 투표 열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지 정당 성향이나 이념 성향별로도 투표 의향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난 가운데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 뿐만 아니라 무당층에서도 82.1%가 투표 참여 의향을 밝혀 차기 대선에 대한 유권자들의 높은 관심과 정치적 참여 의지를 반영했다.

‘선거 당일 투표’(54.5%)가 ‘사전 투표’(41.9%)보다 12.6%p 많아

차기 대선에 투표할 생각인 응답자를 대상으로 언제 투표할 생각인지 물은 결과, ‘사전 투표’(41.9%)보다 ‘선거 당일 투표’(54.5%)를 하겠다는 응답이 12.6%p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질문에 대해서는 권역별 연령별지지 정당별 차이가 크게 났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사전 투표 의향은 호남권(53.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선거 당일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대구·경북에서 63.5%로 가장 높았고, 50대 이하에서 과반 정도가 선거 당일에 투표하겠다고 응답한 반면, 60대 이상은 10명 중 6명이 선거 당일에 투표하겠다고 응답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사전 투표’ 응답이 높게 나타났고, 국민의힘 지지층은 ‘선거 당일 투표’를 하겠다는 응답이 더 많은 가운데. 무당층에서는 ‘선거 당일 투표’(52.7%)가 ‘사전 투표’(39.1%)보다 13.6%p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은 ‘사전투표’(61.6%)를 선호하는 비율이 선거 당일 투표(35.1%)보다 높았다. 반면, 보수층은 ‘선거 당일 투표’(76.6%)를 하겠다는 응답이 ‘사전투표’(21.0%)보다 크게 높아 뚜렷한 대비를 보였다. 중도층에서는 ‘사전투표’(45.4%)와 ‘선거 당일 투표’(50.9%)가 비슷한 분포를 보이며, 다소 당일 투표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차기 대선 가상대결 : 민주당 후보 52.4% 대 국민의힘 후보 38.0%

ARS방식 조사에서 차기 대통령 선거 가상대결을 벌인 결과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52.4%의 지지를 얻어 38.0%를 기록한 ‘국민의힘 후보’보다 14.4%p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우위를 점했다. 특히 호남권에서는 70.9%가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지지해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으며, 수도권과 충청권, 강원·제주에서도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반면, 대구·경북에서는 ‘국민의힘 후보’가 52.5%의 지지를 얻으며 우위를 보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 이하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앞서거나 우세한 반면, 60대는 양 당 후보가 팽팽하게 맞섰다. 70세 이상에서는 ‘국민의힘 후보’가 강세를 보였다. 성별로는 남녀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더 많이 선택했으나, 연령과 성별을 함께 고려했을 때 18~29세 남성층에서는 ‘국민의힘 후보’가 우세한 반면, 동 연령대 여성층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압도적 지지를 얻었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응답자의 95.1%가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선택했으며, 국민의힘 지지층의 92.1%는 ‘국민의힘 후보’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양당 지지층의 높은 충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념 성향에 따라서는 진보층의 86.7%가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택한 반면, 보수층에서는 74.9%가 ‘국민의힘 후보’를 지지했다. 중도층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57.0%)가 ‘국민의힘 후보’(31.4%)보다 25.6%p의 높은 지지를 받아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크게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지지도, 민주당 지지율(50.0%)과 국힘당(39.3%) 10.7%p 격차

전화면접조사에서는 민주당(44.7%)과 국힘당(34.4%) 10.3%p 격차

1만 5050명 대상 ARS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은 50.0%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국민의힘’(39.3%)을 10.7%p 차이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국혁신당’은 3.8%의 지지를 받았으며,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합산 지지율(53.8%)은 ‘국민의힘’보다 14.5%p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권역별 지지율을 살펴보면, ‘더불어민주당’은 호남권 67.7%지지 외에 서울(48.0%), 경인권 (53.1%), 충청권(49.5%)과 강원·제주(48.8%)에서도 ‘국민의힘’을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국민의힘’은 대구·경북에서 55.7%의 지지를 얻으며 강세를 보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성별에 따라 18~29세 연령층에서 차이가 뚜렷했다. 18~29세 남성층에서는 ‘국민의힘’(54.3%)이 ‘더불어민주당’(28.6%)을 크게 앞섰지만, 같은 연령대의 여성에서는 ‘더불어민주당’(60.9%)이 ‘국민의힘’(24.9%)을 압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념 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 ‘더불어민주당’이 54.6%의 지지를 얻어 ‘국민의힘’(32.3%)보다 22.3%p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조국혁신당’은 4.7%의 지지를 받았다.

한편 정당지지도와 대선 투표 의향을 비교해보면 더불어민주당에 투표하겠다는 사람은 정당지지층보다 2.4%p 늘고, 국민의힘은 1.3%p 줄어들었는데 이는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일부가 대선 투표 때는 자당 후보를 택하지 않고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찍고 국민의힘 지지층의 일부는 대선 투표를 포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여론조사꽃’이 3월 14일부터 3월 15일까지 이틀간 실시한 정당지지도 전화면접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지난 조사 대비 0.3%p 하락한 44.7%로 나타난 반면, ‘국민의힘’은 0.1%p 상승한 34.4%, ‘조국혁신당’은 0.5%p 하락한 5.4%로 조사됐다. 양당 간 격차는 10.3%p로 좁혀졌으며,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합산 지지율(50.1%)은 ‘국민의힘’(34.4%)보다 15.7%p 높았다.

법원의 윤석열 구속취소, 심우정의 즉시항고 포기 6대 4로 ‘부적절’이 많아

법원이 윤석열 구속을 취소한 것에 대한 전화면접조사 결과 ‘적절하다’ 37.5% 대 ‘적절하지 않다’ 59.2%로 나타나 국민 10명 중 6명가량은 법원의 결정을 부적절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검찰이 구속 취소 판결에 대한 즉시항고를 포기하면서 윤석열이 석방된 것에 대해서도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59.8%, ‘적절하다’는 응답이 37.1%로 나타나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22.7%p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구속 취소나 즉시항고 포기 모두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6대 4 정도로 우세한 것이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대구·경북을 제외한 전국 모든 지역에서 ‘부적절’이라는 응답이 앞서거나 우세했다. 특히 호남권에서 82.9%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으며, 서울(58.9%), 경인권(61.8%), 충청권(58.4%)에서도 ‘부적절’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하 모든 연령대에서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우세했으며, 60대에서는 양 의견이 팽팽하게 갈렸다. 반면, 70세 이상에서는 ‘적절하다’는 응답이 우세했다. 성별로는 남녀 모두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우세했으나, 18~29세 남성층에서 ‘적절하다’는 응답이 11.5%p 앞섰다. 반면, 같은 연령대의 여성층에서는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69.6%p 차이로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정당 지지 성향에 따라서는 뚜렷한 의견 차이를 보였다. 더불어민주당의 97.2%가 ‘부적절하다’고 응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90.3%는 ‘적절하다’고 응답하며 첨예하게 대립했다. 무당층에서는 ‘부적절’(53.3%)이라는 응답이 ‘적절’(31.0%)응답 보다 22.3%p 높아 비판적 평가가 우세했다.

이념 성향별로도 진보층(91.6%)과 중도층(69.5%)에서는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절대적으로 많았으며, 보수층에서는 ‘적절하다’(72.5%)는 응답이 ‘부적절하다’(25.5%)는 응답보다 47.0%p 높아, 이념에 따른 입장 차이가 확연했다.

윤, 탄핵해야 한다 61.2% vs 탄핵해서는 안 된다 36.3%

이같은 결과는 윤석열 탄핵에 대해서도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61.2%가 ‘탄핵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탄핵해서는 안 된다’(36.3%)는 의견보다 24.9%p 높게 나타났다.

 

권역별로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탄핵’ 의견이 앞서거나 우세했다. 특히 호남권(83.0%)에서 ‘탄핵’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서울(61.3%), 경인권(62.7%), 충청권(61.3%)에서도 ‘탄핵’ 의견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대구·경북에서는 ‘탄핵해서는 안된다’(53.4%)가 ‘탄핵’(43.5%)보다 9.9%p 높아, 유일하게 ‘탄핵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앞섰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 이하 모든 연령대에서 ‘탄핵’ 의견이 우세했으며, 특히 40대(79.3%)에서 ‘탄핵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60대는 양 의견이 팽팽했고 70세 이상에서는 ‘탄핵해서는 안 된다’는 응답이 우세했다. 성별로는 남녀 모두 ‘탄핵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이념성향별로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보층(93.6%)과 중도층(70.5%)에서는 ‘탄핵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으며, 보수층에서는 ‘탄핵해서는 안 된다’(74.5%)가 ‘탄핵해야 한다’(25.5%)를 49.0%p 차이로 크게 앞서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계엄령 트라우마 심각, 윤석열 복귀 시 계엄령 재선포 가능성 ‘있다’ 56.4%

윤석열이 탄핵 심판에서 기각 판결을 받아 대통령직에 복귀했을 경우, 계엄령 재선포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 전화면접조사에서 ‘가능성이 있다’(56.4%)는 응답이 ‘가능성이 없다’ (41.0%)보다 15.4%p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응답한 비율이 41.1%로 나타나, 계엄령 재선포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대구·경북과 부·울·경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계엄령 재선포 가능성’ 응답이 앞서거나 우세했다. 특히 호남권(77.6%)에서 계엄령 재선포 가능성을 가장 높게 우려했으며, 충청권(59.4%), 경인권(57.2%), 서울(55.5%)에서도 과반 이상이 윤석열이 대통령직에 복귀했을 때 계엄령이 재선포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한편, 대구·경북에서는 ‘가능성이 없다’(55.5%)가 ‘있다’(43.5%) 보다 높았고, 부·울·경에서도 ‘없다’(49.6%)가 ‘있다’(45.6%)보다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결과를 보였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 이하 모든 연령대에서 ‘계엄령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이 앞서거나 우세했다.특히 40대(77.0%)가 가장 강하게 우려했으며, 50대(67.8%)와 30대(56.7%)도 계엄령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응답이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은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이 앞섰고, 여성은 26.8%p의 격차로 ‘계엄령 가능성있다’는 의견이 더욱 우세했다.

정당 지지층별로 입장 차이가 극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0.5%가 윤석열이 대통령직에 복귀하면 계엄령을 재선포할 가능성이 높다고 답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의 86.4%는 ‘계엄령 재선포 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해 정반대의 입장을 보였다. 무당층에서도 ‘가능성이 있다’(49.1%)가 ‘없다’(41.9%)를 7.2%p 차이로 앞서, ‘계엄령 재선포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 보면, 진보층(86.6%)은 계엄령 재선포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했고, 중도층 역시 ‘있다’(62.7%)가 ‘없다’(35.3%)보다 27.4%p 높아 계엄령 가능성을 경계하는 태도를 보였다. 반면, 보수층에서는 ‘계엄령 가능성이 없다’(69.8%)가 ‘있다’(26.9%)보다 42.9%p 높아 이념성향별로 극명한 인식차이를 보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