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사자도 7만7천명 감소…2030 사장님은 증가

업체 평균부채 전년보다4.2% 늘어 1억7500만원

지난해 소상공인 사업체 수가 1만 개 감소했고, 이에 따라 소상공인 종사자도 7만7000 명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소상공인 실태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소상공인 사업체 수(411만7000 개)는 전년 대비 1만 개(-0.2%) 감소했다. 이에 따라 소상공인 종사자 수는 720만5000 명으로 전년보다 7만7000 명(-1.1%)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6.6%)과 예술·스포츠·여가업(-2.2%)을 중심으로 소상공인 종사자가 줄었다.

대표자 연령별로는 50대(30.8%)가 가장 많고, 20대 이하(5.2%)가 가장 적었다. 다만 전년 대비로는 20대 이하 청년 대표 사업체가 11.7% 늘면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30대 대표 사업체도 4.0% 늘었다. 2030 세대가 대표인 사업체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40대(-0.8%), 50대(-1.9%), 60대 이상(-2.7%) 대표는 일제히 줄었다.

사업체당 창업 비용은 8천800만 원, 창업 시 본인 부담금은 6천600만 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창업 동기로는 '자신만의 사업을 경영하고 싶어서(64.5%)'를 꼽은 사람이 가장 많았다.

소상공인 경영 실적은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보다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소상공인 사업체당 매출액은 2억25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2.9% 늘었고, 사업체당 영업이익(2800만 원)은 39.8% 급증했다.

사업체당 평균 부채액은 1억75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의 영향이 이어지긴 했으나 이전과 비교하면 소상공인 사정이 다소 호전된 모습을 보였다"며 "다만 이번 조사 결과를 2020년 이전 조사 결과와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과거에는 고정 사업장이 있는 사업자를 대상으로 소상공인 실태조사를 진행했으나, 2020년부터는 기업통계등록부를 기반으로 인터넷 쇼핑몰 사업자 등을 포함해 조사 계열을 변경했기 때문이다.

이외 소상공인의 경영상 애로사항(복수 응답)으로는 경쟁 심화(42.6%)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최저임금을 애로사항으로 뽑은 소상공인도 10.3% 있었다. 코로나19 등 재난 대응에 필요한 정책으로는 보조금 지원(70.8%)을 뽑은 소상공인이 가장 많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