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발표 영업실적 자료…경기부진 영향 42%↓
절반 이상이 적자…일반 사모운용사 1/3은 자본잠식
자산운용사들의 올해 3분기 순익 규모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넘게 감소했다.
전체 자산운용사의 절반 이상이 적자를 냈으며, 특히 일반 사모운용사는 적자로 인해 3곳 중 1곳이 자본잠식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8일 '2022년 3분기 자산운용회사 영업실적(잠정)' 자료에서 올해 3분기(7∼9월) 자산운용사들이 거둔 당기순이익은 3625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작년 3분기 당기순이익 6200억원보다 41.5%( 2575억원)이 줄어든 실적이다.
전체 자산운용사 414개사 중 226개 사(54.6%)는 적자를 기록, 절반 이상의 회사가 적자를 냈다. 특히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일반 사모운용사의 경우 전체 335개 사 중 205개 사(61.2%)가 적자였다. 이에 따라 일반 사모운용사의 자본잠식 비율은 올해 1분기 19.3%, 2분기 23.6%에서 3분기 31.3%로 늘어났다.
금감원은 "지속적 금리 인상 및 인플레이션 등 운용사의 운용환경은 여전히 비우호적이며 현 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라며 "또한 일반 사모운용사의 자본잠식 비율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평가했다.
전체 자산운용사의 3분기 수수료 수익은 총 1조344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68억 원(1.6%) 감소했다. 반면 판매비와 관리비는 6709억원 으로 작년 동기 대비 1040억 원(18.3%) 증가했다.
고유재산 운용으로 발생한 증권투자손익은 516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480억 원(-74.1%) 줄었다.
9월 말 현재 자산운용사의 전체 운용자산은 1401조1000억 원으로, 3개월 전보다 38조9000억 원(2.9%) 늘었다.
금감원 분석 대상 회사 수는 9월 말 현재 414개사로, 6월 말 대비 33개사 증가했다. 공모 운용사가 79개사로 3곳 늘었고, 일반 사모운용사가 335개사로 30곳 증가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