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1일 4차 패널조사 결과 작년 말과 비슷
정당 지지도 민주 45%, 국힘 32%, 개혁신당 6%
윤 대통령 국정 수행 ‘잘함’ 31%, ‘잘못함’ 67%
비례는 민주연합 28%, 국민의미래 26%, 조국신당 1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당 지지도에 있어 양당 수렴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국민의힘을 압도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많은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도가 높은 추세와 다른 결과여서 주목된다.
MBC가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해 12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45%, 국민의힘 32%, 개혁신당 6%, 녹색정의당 2%, 새로운미래 2%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 국정 수행 지지도는 ‘잘하고 있다’ 31%, ‘잘못하고 있다’ 67%를 기록했다. MBC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1일까지 사전에 동의한 패널 집단을 통해 4차례에 걸쳐 실시됐으며 이번이 4번째였다. 조사 결과 윤석열 대통령 국정 수행에 반대하고 더불어민주당 지지도가 국민의힘에 앞서고 있는 1차 조사의 트렌드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다.
정당지지도의 경우 더불어민주당이 43%(1차) → 42%(2차) → 44%(3차) → 45%(4차)로 지지율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었다. 국민의힘 지지도는 34%(1차) → 30%(2차) → 31%(3차) → 32%(4차)로 역시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만 총선이 다가옴에 따라 소수정당에 대한 지지도는 점차 낮아지고 있었다. 1차 조사에서는 정의당이 4%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나 다른 신당들이 출연한 이후 양상이 달라졌다. 2차 조사에서는 이준석 신당 10%, 이낙연 신당 5%, 정의당 2%의 지지를 기록해 이들 정당의 지지율 합계는 17%였다. 그러나 3차 조사에서는 개혁신당 9%, 개혁미래당 3%, 정의당 2%로 지지율 합계가 14%로 줄었다. 이번 4차 조사에서는 개혁신당 6%, 녹색정의당 2%, 새로운미래 2%로 지지율 합계는 10%였다.
여야가 비례 위성정당을 창당한 상황에서 비례대표 정당 투표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조국혁신당의 약진이 눈에 띈다. 정당별로 보면 민주개혁진보연합이 28%를 기록했으며 국민의미래는 26%로 뒤를 이었다. 조국혁신당은 13%의 지지율로 전체 3위, 소수정당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 이외에 개혁신당 9%, 녹색정의당 3%, 새로운미래 2%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총선 전체 구도를 예측해 볼 수 있는 ‘정부 지원론’과 ‘정부 견제론’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정부 견제론이 크게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견제론은 59%, 정부 지원론은 37%를 각각 기록했다. 정부 지원론은 윤석열 대통령 지지도보다는 다소 높았으나 전체적인 흐름에는 차이가 없었다.
MBC는 총 4차례에 걸쳐 패널조사를 실시했다. 패널조사는 사전 동의를 받은 동일한 응답자에게 반복, 추적해 조사한다. 동일한 응답자를 조사하기 때문에 세부적 수치를 알아내기보다는 트렌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다. 정치 관련 설문에 자발적으로 추적 조사에 응했다는 점에서 정치고관여층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1차 조사는 2023년 12월 13일부터 17일까지, 2차 조사는 2024년 1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차 조사는 1월 30일부터 2월 3일까지, 4차 조사는 2월 26일부터 3월 1일까지 실시됐다. 표본 크기는 1차 조사 1508명, 2차 조사 1314명, 3차 조사 1265명, 4차 조사 1216명으로 점차 줄었다. 최초에 패널 참여에 동의했다 하더라도 회차를 거듭하면서 참여하지 않는 인원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 기간 사이에 거대 양당의 비례 위성정당이 창당됐고 조국신당, 개혁신당, 새로운미래 등도 창당됐다. 정당 지지도와 윤석열 대통령 지지도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비례대표 투표와 관련된 트렌드에는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아직 더불어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계열 위성정당)과 조국혁신당의 비례 대표 후보 윤곽이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에 후보군의 윤곽이 잡히면 비례 투표 성향에 또다시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표본 오차는 1차의 경우 95% 신뢰수준에서 ±2.5%p, 2차 조사는 95% 신뢰수준에서 ±2.7%p였으며 3차와 4차 조사는 95% 신뢰수준에서 ±2.8%p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