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2% 올라 사실상 14년 만에 최대 폭 상승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 의료비 상승이 주범

지자체들 지난해 미룬 요금 인상 올해 바로 단행

정부, 총선 전 동결 압박하지만 낙관하기 어려워

버스요금 납부. [연합뉴스 자료사진]
버스요금 납부.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12월 1%대로 떨어졌던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이 한 달을 못 버티고 지난 1월 다시 큰 폭으로 올라 2.2%를 기록했다. 극히 예외적인 기저효과의 영향을 제외하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여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이런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은 중앙정부가 억눌러 온 지방자치단체의 시내버스·도시철도 요금 인상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다. 또한 의료 수가 조정에 따른 입원·외래진료비 상승도 크게 작용해, 현재 진행 중인 의료계 파업 사태 이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월 공공서비스 물가는 전년 동월보다 2.2% 올랐다. 지난 2021년 10월 6.1% 상승 이후 2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하지만 2021년 10월의 상승률은 전년 동월(2020년 10월)에 시행된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대국민 대국민 휴대전화 요금 지원에 따른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생긴 것이다.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 추이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 추이

이런 2021년 10월을 제외하면 올해 1월 상승 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0월(2.3%) 이후 14년 3개월 만에 가장 컸다. 공공서비스 물가는 정부·지자체의 직간접적 관리를 받기 때문에 0∼1% 범위에서 소폭 등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월과 비교하면 1월 공공서비스 물가는 1.0%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폭(0.4%)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전월 대비 상승률로는 2020년 11월 휴대전화 요금 지원에 따른 기저효과(4.8%)를 제외하면 2015년 7월(1.0%) 이후 8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1월 공공서비스 물가가 이처럼 크게 상승한 주된 원인은 시내버스·도시철도 등 대중교통 요금과 외래·입원진료비 등 병원비 상승이다. 공공서비스를 구성하는 하위 항목 중 택시료가 전년 동월 대비 18.0% 상승했고, 이어 시내버스료 11.7%, 도시철도료 10.9%, 하수도료 3.9% 등으로 조사됐다. 기여도 면에서는 시내버스료가 가장 컸고 택시료, 외래진료비, 도시철도료, 치과 진료비, 입원진료비, 하수도료 등 순이었다.

 

공공서비스 및 하위 항목 물가지수 등락률 추이
공공서비스 및 하위 항목 물가지수 등락률 추이

1월 대중교통 요금 인상은 주로 지방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대전 시내버스 요금은 1월 1일부터 1500원으로 250원 인상됐다. 대구 시내버스·도시철도 요금도 1월 13일부터 1250원에서 1500원으로 올랐다. 이런 영향으로 시내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11.7% 오르며 전달(11.1%)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외래진료비는 1월 새로 적용되는 수가가 인상되면서 1년 전보다 2.0% 올랐다. 통상 2%대 인상률을 보인 외래진료비는 지난해 1.8%로 둔화했다가 1년 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섰다. 입원진료비는 1.9% 오르면서 2017년 1∼9월(1.9%) 이후 7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올해 의료 수가 인상으로 진료비가 크게 상승한 가운데 20일 오전 서울의 한 대학병원 진료실 앞에서 한 의사가 진료를 보러온 환자들을 살피고 있다. 2024.2.20. 연합뉴스
올해 의료 수가 인상으로 진료비가 크게 상승한 가운데 20일 오전 서울의 한 대학병원 진료실 앞에서 한 의사가 진료를 보러온 환자들을 살피고 있다. 2024.2.20. 연합뉴스

지난해 1∼2% 내외 상승률을 기록한 하수도 요금은 1월 3.9% 올랐다. 부산·세종·의정부·고양 등 8개 지자체가 1월 일제히 하수도 요금을 올린 탓이다. 지난해 1월 하수도 요금을 올린 지자체는 3곳에 그쳤다.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지난해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을 자제해 주도록 지자체를 압박해 왔지만 일부 지자체가 올해 들어 바로 요금 인상을 단행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 총선 등을 의식해 올해에도 상반기 중에는 공공요금을 최대한 동결하거나 인상 시기를 늦추도록 압박하고 있지만 원자잿값 인상 등 물가 상승 압력이 누적된 탓에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