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발표 ‘임금 흐름 및 가격전가율 추정’ 보고서

지난해 제조업 생산자 물가 반영 비율 예전의 20배

중간재 가격 함께 올라 비용 흡수 여력 떨어진 영향

      자료 : 한국은행
      자료 : 한국은행

기업들이 지난해부터 임금이 오르면 상승분을 가격에 떠넘기는 폭이 예전보다 훨씬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최근 임금 흐름 평가 및 가격전가율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이후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모두 한계 비용(임금·중간재 비용)의 가격 전가율이 크게 올랐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20배나 커졌다.

임금이 10% 상승할 경우 2013∼2020년에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생산자 물가는 각각 평균 0.1%와 1.6% 높아졌지만, 지난해 1분기부터 올해 2분기 사이에는 2.0%, 3.0%나 뛰었다.

같은 기간 제조업과 서비스업 중간재 비용의 생산자물가 전가율(중간재 비용 10% 인상에 따른 생산자물가 상승률)도 5.3%, 0.5%에서 8.2%, 0.7%로 높아졌다.

한은은 과거 경기 회복기와는 다르게 임금과 중간재 비용이 동시에 상승하고 있어, 기업들이 비용 상승을 흡수할 여력이 줄어 가격 전가율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은 그러나 앞으로 중간재 수입 물가가 안정되면 임금의 생산자물가 전가율이 이전 수준으로 낮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장기 평균을 웃도는 최근 임금 상승세는 기대인플레이션이 오른데다 일자리 공급보다 수요가 더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2분기 상용직 정액 급여 상승률은 2019년 4분기보다 0.39%포인트(p) 높은데, 요인을 나눠보면 기대인플레이션과 빈 일자리율{빈 일자리 수/(전체 근로자수+빈 일자리수)} 상승이 각 0.45%포인트, 0.30%포인트씩 모두 0.75%포인트를 끌어올렸다. 반대로 노동생산성 등 다른 요인들은 상승률을 0.36%포인트 깎아내렸다.

특히 300인이상 대규모 사업체에서는 올해 2분기 기준 기대인플레이션의 정액 급여 상승률 기여도가 2.58%포인트로 소규모 사업체(1.34%포인트)를 크게 웃돌았다.

노동조합을 통한 협상력 제고 등이 임금의 가격 전가 가능성을 키웠을 것으로 한은은 추정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