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0년 국민이전계정 발표
27세부터 흑자…적자 시작 나이 계속 늦어져
우리 국민들은 평균 42세에 가장 많은 노동소득(연 3,725만원)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43세에는 지출을 빼고 가장 많은 흑자(1,726만원)를 내며, 61세부터는 적자로 전환된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0년 국민이전계정'을 29일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연령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연령집단(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정부·가계의 재정 부담 등 미래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대비하고자 작성된다.
2020년 기준 총소비는 1천81조8천억원, 노동소득은 984조3천억원이었다. 생애주기에서 총 97조5천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다는 의미다.
노동연령층(15~64세)은 167조2천억원 흑자였지만 유년층(0~1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141조8천억원, 122조9천억원 적자였다.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16세 때 3,370만원으로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 27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 구간으로 진입했고 43세에 1,726만원으로 흑자 규모가 가장 컸다.
61세부터는 다시 적자로 전환한다. 인생에서 흑자를 내는 기간은 33년에 불과한 셈이다.
연도별로 보면 흑자 진입 연령은 27~28세로 일정한 편이나 적자 재진입 연령은 점차 뒤로 밀리는 추세다. 2010년 56세에서 2020년 61세로 5세나 밀렸다. 평균수명의 연장, 전반적인 인구 고령화 등으로 더 늦게까지 일한다는 의미다.
총소비는 1천81조8천억원이다. 노동연령층(780조8천억원)의 소비가 가장 많고 유년층(141조8천억원)과 노년층(159조2천억원) 순이다. 공공소비는 350조1천억원이었다. 전체 공공소비에서 노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로 2010년 13.7%와 비교해보면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민간소비는 731조7천억원이다. 유년층에서 63조7천억원, 노동연령층에서 578조6천억원, 노년층에서 89조4천억원이 나왔다. 1인당 소비가 가장 많은 시기는 16세로 3,370만원에 달한다. 유년층은 교육 소비 영향이, 노년층은 보건 소비의 영향이 가장 크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