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만 달러로 8.2% 줄어 일본, 스웨덴 이어 세 번째
명목 GDP도 7.9% 감소한 1.7조 달러로 일본 다음
잠정 집계 명목 GDP 순위 10위에서 13위로 떨어져
환율 상승 영향 있지만 성장 동력 약화 엄연한 현실
우리나라의 1인당 국내총생산 감소율이 세계 주요국 가운데 반갑지 않은 3등을 차지했다.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감소율은 전년 대비 8.2%로 일본과 스웨덴에 이어 세 번째를 기록했다.
진 의원이 한국은행을 통해 집계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세계은행(WB)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3만 2142달러였다. 2021년(3만 4998달러)보다 8.2% 줄었으며, 감소율이 주요 47개국 중 일본(-15.1%), 스웨덴(-8.5%)에 이어 세 번째였 다.
47개국에는 세계경제규모 30위권 국가와 OECD 회원국이 포함됐다. OECD 회원국은 OECD 자료를, OECD 비회원국은 세계은행(WB) 자료를 인용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47개국 가운데 2021년에 이어 순위 변동 없이 세계 22위를 유지했다.
국가별로는 룩셈부르크(12만 5558달러)가 1위를 기록했으며, 노르웨이(10만 6180달러), 아일랜드(10만 4237달러), 스위스(9만 1976달러), 미국(7만 6360달러) 순이었다.
우리나라와 순위를 다투는 국가들로는 이탈리아(3만 4109달러·20위), 일본(3만 3864달러·21위)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달러 기준 1인당 GDP가 크게 감소한 것은 지난해 원화 가치가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원/달러 환율 평균은 1291.75원으로, 2021년 1144.32원보다 12.9% 올랐다.
지난해 우리나라 명목 GDP는 원화 기준으로는 2161조 8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9% 증가했으나, 달러 기준으로는 1조 6773억 달러로 전년(1조 8177억 달러)보다 7.9% 감소했다.
달러 기준 명목 GDP 감소율(7.9%) 역시 자료가 집계된 42개국 중 일본(-15.5%)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우리나라의 달러 기준 명목 GDP 세계 순위는 지난 2021년 세계 10위에서 13위로 세 계단 하락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우리나라의 달러 기준 1인당 GDP나 명목 GDP가 후퇴하는 것을 환율 문제로만 볼 수는 없다. 우리나라 경제 성장 동력이 점차 약화하고 있다는 것도 엄연한 현실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25일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0%로 0.2%p 올려잡으면서도,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는 종전 1.5%에서 1.4%로 0.1%p 하향했다. IMF는 작년 7월·10월과 올해 1월·4월·7월까지 5차례 연속으로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를 내렸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